문재인 정부 첫 검찰 출신 청와대 민정수석으로 기대를 모았던 신현수 수석이 취임 두 달도 안돼 사의를 표명하면서 정치권에서는 "역대 정권 '위기의 신호'였던 '청와대 민정수석 리스크'를 그대로 답습하고 있다"는 평이 나온다.
차관급인 청와대 민정수석을 두고 정치권에서는 '나는 새도 떨어뜨리는 왕수석'이라 평한다. 청와대 민정수석은 검찰·경찰·국가정보원·감사원·국세청 등 5대 권력기관을 전부 관할한다. 대통령 친·인척을 관리하고 국정 관련 여론과 민심 동향을 파악한다. 청와대 인사위원회 멤버로 공직자 인사를 검증하고 감찰한다.
하지만 '독이 든 성배'라고 표현해야 할 정도로 뒤끝이 좋지 않기도 하다. 당장 문재인정부 전·현직 민정수석 4명 모두 논란의 중심에 선 것이 단적인 예다.
초대 민정수석이었던 조국 전 법무부 장관은 청와대 참모 생활을 마치고 2019년 9월 법무부 장관으로 임명되자 이른바 '조국 대전'을 불러오며 정국을 달궜다. 유재수 전 부산시 경제부시장 감찰 무마와 웅동학원·사모펀드·자녀 입시부정 혐의를 받는 조 전 장관은 한때 문 대통령 지지율 40%를 위협했다.
조 전 수석 뒤를 이었던 김조원 전 민정수석 역시 다주택자 논란으로 불명예 퇴진했다. 그는 지난해 '참모진 1주택 보유' 권고 당시 서울 강남권 아파트 2채를 가진 다주택자였다. 논란이 일자 한 채를 매각한다면서도 시세보다 2억원 가량 비싸게 내놓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들끓는 부동산 민심에 기름을 부었다. 그가 퇴임 때까지도 집을 처분하지 않자 "자리는 잃었지만 '똘똘한 2채'는 지켰다"는 비아냥도 나왔다.
김종호 전 수석은 임명 된지 4개월 만에 물러났다. 추미애 당시 법무부 장관 주도로 윤석열 검찰총장 징계가 추진됐지만 법원에 제동이 걸렸고, 이후에도 혼선이 이어진데 책임을 지는 차원에서 사표를 냈다.
문 대통령은 사표를 수리하는 동시에 법무부와 검찰 간 갈등에 유감을 표시하고, 처음으로 검찰 출신인 신현수 수석을 발탁함으로써 국면 반전을 모색했다.
하지만 그가 두달도 되지 않아 사의를 고집하면서 '레임덕 징후'라는 뒷말이 나온다.
과거 민정수석실에 근무한 한 인사는 "박근혜 정부 시절 우병우 민정수석에게 힘이 쏠리면서 사실상 측근 비리 통제가 어려워졌고 정권 몰락으로 이어졌다. 참여정부 첫 민정수석이었던 문 대통령도 대통령 친인척 비리 파문 등으로 1년 만에 민정수석 자리에서 물러났고, 이후 대통령 지지율은 급락했다"며 "대통령 복심으로 불린 신 수석이 청와대를 떠나겠다는 건 정권 내부 문제가 손댈 수 없을 정도로 곪았다는 방증 아니겠느냐. 내부 문제가 정권을 흔드는 '잔혹사'가 이번에도 재현될 우려가 있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