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일 윤석열 검찰총장의 장모와 이성윤 서울중앙지검장이 각각 검·경 수사 선상에 올랐다는 보도가 이어지면서 양측의 갈등이 고조되고 있다.
이날 서울경찰청 반부패·공공범죄수사대가 지난달 8일 서울중앙지검으로부터 윤 총장의 장모인 최모(75) 씨의 납골당 사업 편취 개입 의혹에 대한 보완 수사를 요청받아 재수사에 나선 소식이 알려졌다.
납골당 편취 개입 의혹은 윤 총장의 장모 최 씨가 평소 알고 지내던 A씨로부터 명의식탁 받은 주식을 불법으로 양도했다는 의혹을 말한다. 이 사건으로 납골당 대표이사를 맡고 있던 A씨가 해임됐고, A씨는 최 씨 등을 사문서위조·사기·횡령 등 혐의로 고소했다.
당시 경찰은 수사에 착수해 같은 해 12월 불기소(각하) 의견으로 사건을 송치했다. 그러나 검찰은 지난달 8일 경찰에 보완수사를 요청했다.
수사가 부족한 부분이 있다고 판단되면 검찰이 통상적으로 보완 수사를 요청하기도 하지만 그 대상이 윤 총장의 장모라는 점에서 대검과 중앙지검의 갈등으로 보는 시각도 존재한다.

같은 날 김학의 전 법무부 차관의 출국금지 사건을 두고 수사외압 의혹을 받는 이성윤 서울중앙지검장이 여러 차례 출석을 요구받았으나 거부했다는 보도가 나왔다.
법조계에 따르면 수원지검 이정섭 형사3부장은 이 지검장에게 지난 주말과 이번 주 초 두 차례에 걸쳐 출석요구서를 보냈다.
이 지검장은 두 차례에 걸친 검찰의 정식 출석 요청에 대해 "시일이 촉박하다"는 등의 이유를 들어 거절한 것으로 전해졌다.
앞서 검찰은 지난 설 연휴쯤 세 차례가량 유선 등으로 출석 일정을 조율하려 했으나 이 지검장은 "현안이 많아 업무가 바쁘다"며 조사 요구에 불응했다.
김학의 전 법무부 차관 수사 중단 의혹은 2019년 대검 반부패강력부의 압력으로 수사가 중단됐다는 의혹이다. 당시 대검 반부패부장은 이성윤 서울중앙지검장이다.
검찰은 현재까지 당시 대검 반부패부 소속이던 문홍성 수원지검장(당시 반부패부 선임연구관), 김형근 서울북부지검 차장검사(대검 수사지휘과장), 윤대진 사법연수원 부원장(법무부 검찰국장), 문찬석 전 검사장(대검 기획조정부장) 등을 조사했다.
수사 중단 외압 의혹과 관련해 남은 조사 대상은 당시 대검 반부패부장이던 이 지검장이 남았다.
하지만 이 지검장은 설 연휴 직후인 17일 검찰의 출석요구에 불응하고 있다는 보도가 나오자 입장문을 통해 "당시 대검 반부패강력부가 안양지청의 수사를 중단토록 압박했다는 보도 내용은 사실이 아니다"라면서 "통상적인 지휘였다"고 관련 의혹을 부인한 바 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