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혼술과 홈술' 더 적게 더 자주 마신다…월 평균 9일 음주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코로나19와 관계 단절로 인한 '혼술' '홈술' 문화가 확산하면서 술을 마시는 날은 늘었지만 평균 음주량은 줄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10일 농림축산식품부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가 지난해 9월 2∼15일 전국 19∼59세 성인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지난해 주류 소비자의 월평균 음주 빈도는 9.0일로 집계됐다.

조사 대상은 월 1회 이상 주류를 소비하고, 6개월 이내 전통주를 마신 적 있는 소비자 2천명이다.

월평균 음주 빈도는 2019년 8.5일에서 0.4일 늘었다. 월평균 음주 빈도 2016년 8.9일에서 2017년과 2018년 각 8.8일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다 지난해에는 반등했다.

월 음주 빈도가 증가한 것과는 달리 음주 시 하루 평균 음주량은 지난해 6.7잔으로 2019년 6.9잔보다 감소했다.

응답자들은 지난해 주류 트렌드(복수응답)로 '혼술'(74.9%)과 '홈술'(72.0%)을 가장 많이 꼽았다.

술 종류별 음용 비중은 맥주가 41.4%로 가장 컸고 그다음으로 소주(32.7%), 전통주(15.1%), 수입 와인류(4.5%) 등의 순이었다.

'가장 좋아하는 주종'으로는 맥주(46.3%), 소주(29.3%), 전통주(10.4%), 수입 와인류(5.3%) 등의 순으로 꼽혔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