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토지주택공사(LH) 직원들의 출장비 부정수급이 광범위하게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전체 부정수급자의 절반에 가까운 46%가 입사한 지 5년 미만인 저년차 직원들인 것으로 나타났다.
저년차 때부터 비리에 무감각해지기 시작하고, 이에 대한 제재도 솜방망이에 그치는 비리에 대한 관용적 기업 문화가 큰 사태로 상황을 악화시켜왔다는 것이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김은혜 의원실이 15일 LH 감사실로부터 확보한 'LH 임직원 출장비 부정수급 자체조사(조사기간 2020년 3월~5월) 결과 및 부정수급자 근속기간' 자료에 따르면, 부정수급자 2천898명(전체 임직원 9천449명·지난해 4분기 기준) 중 근속 연수가 5년 차 미만인 직원은 무려 1천335명(전체의 46.1%)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범위를 10년차 미만으로 확대하면 비율은 52.5%(1천524명)까지 올라갔다. 10년차 이상~20년차 미만은 590명(20.3%), 20년차 이상~30년차 미만은 343명(11.9%), 30년차 이상은 439명(15.1%)으로 나타났다.
김 의원은 "연차가 낮은 직원의 부정수급 비율이 높은 이유는 LH의 조직 문화가 작은 비리에 얼마나 관용적이었는지를 보여주는 사례"라며 "바늘도둑이 소도둑 된다는 말처럼, 내부의 작은 비리를 눈감고 덮어주다가 더 큰 범죄로 이어졌을 개연성이 크다"고 지적했다.
댓글 많은 뉴스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