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중국 수출 김치 제품에 '파오차이'?…"중국 정부가 표기 강제"

한국 식품제조 기업의 중국 수출용 김치만두 제품. 패키지에
한국 식품제조 기업의 중국 수출용 김치만두 제품. 패키지에 '파오차이'라고 표기돼있다. 온라인 커뮤니티 캡처

중국 수출용 김치 관련 제품에 김치 대신 '파오차이'(泡菜)라는 표기가 쓰이고 있는 가운데 중국 정부가 국내 기업에게 중국식 김치 표기를 강제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15일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국내 식품제조 기업의 중국 수출용 김치만두 제품에 김치 대신 '파오차이'라고 표기됐다는 사실과 함께 제품 패키지 전면을 찍은 사진이 올라왔다.

해당 글은 마치 기업이 스스로 '파오차이'라는 표기를 택했다는 취지로 읽혔다.

그러나 관련 업계에 따르면 중국은 국내 주요 식품업체들이 현지에서 판매하는 김치 제품에 대해 '파오차이'로 표기하도록 강제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은 자국의 식품안전국가표준(GB)제도를 들어 이 규격을 따르지 않는 제품의 현지 판매 및 사업 등을 제한하고 있는 것이다.

이처럼 국내 기업들은 중국 시장 진출을 위해서는 울며 겨자먹기로 '파오차이'라는 표기를 택해야 하는 실정이다.

예컨대 CJ제일제당은 김치를 사용한 간편식에 파오차이라는 이름을 사용하고 있다. 중국 현지에서 생산·유통 중인 파오차이 찌개(泡菜)와 한국식 파오차이 군만두(韓式泡菜煎)가 대표적이다.

대상그룹의 '청정원'과 '종가집'은 중국에 수출 또는 현지에서 생산해 판매 중인 김치를 파오차이라고 표기해 판매한다. 패키지 전면에 파오차이와 함께 영어와 한글이름 김치(Kimchi)를 동반해 작게 표기하고 있다.

풀무원의 경우 중국 현지 법인을 통해 김치를 생산·판매 중이다. 중국 법인 '포미다식품'은 제품명에 자른 파오차이(切件泡菜)라는 이름을 붙였다.

일부 네티즌도 해당 글에 댓글을 달고 "중국에서는 코카콜라도 맥도날드도 모두 한자로 차용해서 쓰고 있다. 중국용으로 판매하는 것은 저렇게 하지 않았으면 통과가 되지 않았을 거라 추정된다"고 밝혔다.

다른 네티즌은 "중국에서는 김치의 고유명사가 파오차이. 우리가 스시를 초밥이라 하고, 중국의 위씨앙치에즈를 어향가지라고 부르는 것과 같은 이치"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이러한 중국 정부의 파오차이 표기 강제 방침이 최근 불거진 김치공정 논란을 더 부추기고 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이에 정부는 이달 중 김치 표기와 관련한 기업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공청회를 진행할 예정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