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제2, 제3 ‘대구형 일자리’ 발굴 본격 시동

일자리위원회, 노사발전재단 컨설팅 지원사업에서 국비 2억5천만원 확보
물산업클러스터, 에너지·미래차 분야에서 구체적 방안 나올 듯

대구시청 별관. 매일신문DB
대구시청 별관. 매일신문DB

대구시가 올해 정부의 일자리 관련 컨설팅 예산을 연이어 확보하며 '대구형 일자리' 개발에 박차를 가한다고 16일 밝혔다. 물산업, 미래차 및 에너지 분야에서의 상생형 일자리 창출 방안을 구체적으로 모색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대구시는 지난달 대통령 직속 일자리위원회의 '2021 상생형 지역 일자리 특화·전문 컨설팅' 지원 사업에서 국비 1억원을 확보했다. 이어 지난 8일에는 고용노동부 산하 노사발전재단의 '2021 노사상생형 지역일자리 컨설팅 지원사업'에도 선정돼 국비 1억5천만원을 추가로 확보했다.

상생형 지역 일자리는 근로자, 기업, 지역주민, 지자체 등 지역 경제주체들이 각자의 역할과 책임을 담은 사회적 합의를 도출하고 상생협약을 체결해 신규 투자와 일자리를 창출하는 사업이다.

대구시는 2019년 차부품 기업인 이래AMS에서 최초의 대구형 일자리 성공사례를 만든 것에 이어 지난해 7월 '대구형 상생일자리 추진위원회'를 구성하고 새로운 상생형 지역일자리 모델을 발굴 중이다.

대구시는 특히 미래차, 로봇, 물, 의료, 에너지, 스마트시티 등 '5+1 신산업'에서 가능성을 찾고 있다. 대구시 관계자는 "우선 국가물산업클러스터 입주기업 및 투자예정 기업을 대상으로 대구형 일자리 사업을 구상 중"이라며 "미래차 및 에너지 산업 분야에서도 대구형 일자리가 나올 수 있을 것으로 보이며, 구체적인 방안은 국비 활용 컨설팅 사업에서 도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홍의락 대구시 경제부시장은 "이래AMS 모델에 이은 또 다른 제2, 제3의 성공적인 대구형 상생일자리 모델을 발굴해 현재의 고용위기를 극복하고 지역 산업 전반의 체질 개선으로 이어지도록 노력하겠다"고 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