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대구 신공항 철도는 일반철도로 지어야

이철우 경상북도지사가 변창흠 국토교통부 장관을 만나 "가덕도 신공항과 무관하게 대구경북 통합신공항 건설은 차질 없이 추진돼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특히 "공항을 잇는 철도(대구경북선)는 일반철도로 국가 계획에 반영돼야 한다"며 협조를 요청했다. 이 지사의 요구는 부산시장 보궐선거를 앞두고 여야 정치권과 부울경의 가덕도 공항론으로 대구공항 이전 계획에 차질이 생겨서는 안 된다는 당위적 요구다.

현재 대구 도심에 있는 대구공항에서 멀어지게 되는 이전 대구공항의 연착륙 여부는 연결 교통망을 어떻게 구축하는가에 달려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 핵심이 서대구KTX역을 출발해 통합신공항을 거쳐 의성역을 종점으로 하는 61.4㎞의 철도(대구경북선) 건설이다. 이런 상황에서 국토부는 올 상반기 제4차 국가 철도망 구축 계획을 확정하면서 전액 국비가 투입되는 일반철도 사업 대신 지방비 30%가 투입되는 광역철도로 지을 계획인 것으로 전해진다. 전액 국비를 투입하는 것이 부담된다는 이유에서다. 이 경우 대구시와 경북도가 현재 예상되는 공항철도의 총사업비 2조2천억원 중 6천600억원을 부담해야 한다. 가뜩이나 지자체마다 현 정부 들어 급격히 확대되고 있는 복지 예산 지출 증대로 인해 재정 사정이 열악하다. 신공항의 성패가 달린 철도 건설이 예산 확보를 못 해 지연되거나 어려워질 수 있는 것이다.

게다가 이런 국토부의 의도는 대도시권 광역교통 관리 특별법에도 어긋난다. 특별법에 따르자면 광역철도 범위는 대구시청을 중심으로 반경 40㎞ 이내여야 한다. 통합신공항은 59㎞나 떨어져 있다. 그러자 국토부가 광역철도 중심지 반경을 80㎞까지 늘리는 법 개정을 하면서까지 대구경북선의 광역철도 건설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대구경북선은 대구와 통합신공항을 잇는 역할뿐만 아니라 경부선과 중앙선의 선로 용량을 나누는 간선철도로서의 역할도 하게 된다. 대구 통합신공항은 군 공항 이전 특별법에 따라 K-2 군 공항이 함께 이전하는 것이기도 하다. 안보철도로서의 역할도 하는 셈이다. 무엇보다 대구 신공항은 전 세계 각 지역을 잇게 될 국제공항이다. 국제공항이 들어서는데 이를 대도시와 연결하는 철도를 국가가 운영하는 일반철도로 짓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