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교육청이 전국 시·도교육청 중 최초로 개관한 '경북교육 사이버박물관'이 운영 일주일 만에 20만5천여 명이 방문했다.
경북교육 사이버박물관(http://cem.gbe.kr)은 학령인구 감소로 학교가 사라진 폐교 동문이 모교에 대한 추억을 살리고 수집 자료를 영구 보존해 경북교육의 발자취를 기록하고자 마련됐다.
주요 기능은 박물관 안내, 그리운 교정, 추억으로 남은 학교, 학교 찾기, VR영상관, e-Book, 교육사료, 경북교육사, 커뮤니티, 체험존 등 10개 콘텐츠로 이뤄졌다.
보관 중인 역사 자료 중에는 일제강점기 학생들이 웃통을 벗고 노역하는 모습, 배를 타고 학교 가는 풍경, 송충이 잡기 봉사활동 사진 등 5천 여 점이 넘는 역사 자료들이 체계적으로 분류돼 있어 다양한 볼거리를 제공한다.
이 코너에는 퇴직 교원들이 그동안 교직생활 동안 수집한 자료를 USB와 행사 사진이 담긴 앨범 등을 경북교육청으로 보내주기도 했다.

특히 경북지역 내 폐교된 743개 학교별 미니 홈페이지를 만든 '추억으로 남은 학교' 코너는 동문이 소장한 자료를 실명 인증 후 서로 공유하고 방명록으로 안부를 나눌 수 있어 큰 호응을 얻었다. 지난해 기준 경북은 전남에 이어 두 번째로 문을 닫는 학교가 많았다.
현재 미국에서 거주 중인 경북 폐교 출신 졸업생이 친구들과 소통하고 싶다며 교육자료를 기증하기도 했다.
폐교된 옛 안동 풍동초 졸업생 조재성(47) 씨는 "연락이 안 되는 친구들도 있고 학교가 사라져 옛 추억에 대한 기억도 점점 잊히는 것만 같아 아쉬움이 컸다"며 "이제는 온라인에서 어릴적 추억을 동문과 하나씩 쌓아 올릴 수 있고 자식들에게도 옛 모습을 알려줄 수 있어 교육적으로 좋은 것 같다"고 이용 소감을 전했다.
임종식 경북도교육감은 "현재 구축된 콘텐츠를 더욱 더 체계적으로 보완·개선하고 자료를 지속적으로 모아 다양하고 질 높은 서비스를 제공하겠다"며 "사이버 교육 박물관 이용자께서는 소장하고 계신 자료를 공유해 주시고 오랜 친구들과 추억을 나누고 경북교육의 역사 기행을 함께하는 기억공간으로 자리잡았으면 좋겠다"고 밝혔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
검찰, '尹 부부 사저' 아크로비스타 압수수색…'건진법사' 의혹 관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