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아프간 털고 중국 등 현안 집중…'바이든식 아메리카퍼스트'(종합)

바이든, 철군 공식 발표하며 "중국과의 극심한 경쟁 맞서 미 경쟁력 강화해야"
트럼프 본격 철군추진·바이든 마무리…WP "트럼프·바이든 사실상 목표 공유"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14일(현지시간) 워싱턴DC 백악관의 트리티룸에서 아프가니스탄 주둔 미군의 철군 계획을 발표하면서 메모장을 꺼내고 있다. 바이든 대통령은 다음 달 1일부터 아프간 주둔 미군의 철군을 시작해 9·11 테러 20년이 되는 오는 9월 11일까지 종료하겠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14일(현지시간) 워싱턴DC 백악관의 트리티룸에서 아프가니스탄 주둔 미군의 철군 계획을 발표하면서 메모장을 꺼내고 있다. 바이든 대통령은 다음 달 1일부터 아프간 주둔 미군의 철군을 시작해 9·11 테러 20년이 되는 오는 9월 11일까지 종료하겠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9·11 테러 20주년에 맞춰 아프가니스탄 완전 철군을 결정한 것은 중국과의 전략적 경쟁 같은 당면 현안에 자원을 집중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중국과의 경쟁이 첨예해지는 와중에 이미 천문학적 비용이 들어간 아프간전에서 속히 발을 빼는 것이 현명하다고 판단한 셈이다.

바이든 대통령은 14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아프간 주둔 미군 완전 철군을 공식 발표하면서 "(아프간 무장조직) 탈레반과의 전쟁으로 돌아가는 대신 우리는 우리 앞에 있는 도전에 집중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우리는 점점 더 자기 확신에 찬 중국으로부터 우리가 직면한 극심한 경쟁에 대처하기 위해 미국의 경쟁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프간 철군이 바이든 대통령의 대선 공약과 일치하지만 취임 3개월도 안된 시점에 서둘러 완전 철군 발표가 이뤄진 것 역시 바이든 대통령의 이러한 기조를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바이든 행정부는 중국을 최대 위협으로 꼽으며 중국의 영향력 확대 차단에 주력하고 있다. 러시아와의 대립과 코로나19 퇴치, 기후변화 대응 등도 바이든 대통령의 역점 어젠다다.

미 당국자들은 워싱턴포스트(WP)에 '9월 11일'이라는 철수 시한도 확고하고 대테러 대응을 위한 소규모 병력이 남지도 않는다고 말했다. 아프간 상황이 악화된다고 해서 미군 철군 일정에 변동이 생기지는 않는다는 것이다.

결국 아프간 철군은 트럼프 전 대통령이 본격적으로 추진해 바이든 대통령이 끝내게 된 셈이다. 나토도 이날 미국과 함께 철군하는 데 합의했다. WP는 "아프간의 경우 바이든은 트럼프와 사실상 공유하는 목표를 추진하는 것"이라며 "트럼프는 임기 내 완전 철군에 실패했지만 5월 1일을 시한으로 설정했고 바이든은 시한을 몇 달 정도만 늘린 것"이라고 평했다.

뉴욕타임스(NYT)도 "바이든은 절대 그 용어를 쓰지는 않겠지만 아프간 철군은 '바이든식 아메리카 퍼스트'의 일환"이라고 지적했다. 아메리카 퍼스트를 슬로건으로 내세워 대놓고 미국의 이익을 앞세운 트럼프와 유사성이 있다는 지적인 셈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