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구경북 행정통합 2차 여론조사, 찬성 45.9%·반대 37.7%

공론화위 2차 통합 여론조사 발표…대구 서부권 경북 북부권 반대 많아
명칭은 ‘대구경북특별광역시’, 달서구 신청사+경북도청사 2청사 체제 선호
추진 시점 63.7% "내년 地選 이후"…29일 시도지사에게 최종 의견 제출

지난달 4일 대구 엑스코에서 열린 대구경북행정통합 권역별 대토론회에서 전문가 토론이 진행되고 있다. 경북 동부권, 서부권, 북부권 토론회는 각각 5일 포항, 8일 구미, 9일 경북도청에서 열린다. 성일권 기자 sungig@imaeil.com
지난달 4일 대구 엑스코에서 열린 대구경북행정통합 권역별 대토론회에서 전문가 토론이 진행되고 있다. 경북 동부권, 서부권, 북부권 토론회는 각각 5일 포항, 8일 구미, 9일 경북도청에서 열린다. 성일권 기자 sungig@imaeil.com

대구경북 행정통합 2차 여론조사 결과. 대구경북행정통합공론화위원회 제공
대구경북 행정통합 2차 여론조사 결과. 대구경북행정통합공론화위원회 제공

대구경북행정통합 2차 여론조사 결과 찬성이 반대 의견보다 8.2%포인트(p)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통합 시점에 대해서는 성급한 진행보다 내년 지방선거 이후 중장기 과제로 추진해야 한다는 의견이 압도적이었다.

대구경북행정통합공론화위원회(이하 공론화위)가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지난달 31일부터 이달 11일까지 대구·경북 만 18세 이상 성인 남녀 1천명(대구·경북 각각 500명)을 대상으로 2차 여론조사를 진행한 결과(표본오차 95%, 신뢰수준 ±3.14p), 행정통합에 대한 찬성 의견은 45.9%, 반대 37.7%, 모름·무응답 16.4% 순으로 집계됐다.

대구시민은 찬성이 반대보다 1.8%p 높았고, 경북도민은 찬성이 반대보다 14.6%p 높아 경북도민이 행정통합에 더 적극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대구 동부권(수성구·북구·동구)과 경북 동부권(포항·경주·영천 등)에서 찬성이 많았고, 대구 서부권(달서구·달성군)과 경북 북부권(문경·봉화·상주 등)은 반대가 더 많았다.

행정통합을 찬성하는 주된 이유로는 '지방정부 권한 강화로 인한 경쟁력 확보'가 꼽혔다. 반대는 '균형발전 정책이 제대로 추진되지 않고 경제 발전 효과가 크지 않을 것 같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통합자치단체 명칭은 '대구경북특별광역시'에 대한 선호도가 높았고, 행정통합 시 청사 운영은 달서구 신청사와 경북도청사 2개를 모두 활용하자는 주장이 많았다.

졸속 추진 논란을 낳았던 행정통합 추진 시점에 대해서는 63.7%가 '2022년 지방선거 이후 중장기 과제로 진행해야 한다'고 응답했다. 당초 계획인 '내년 7월에 행정통합을 이뤄야 한다'는 응답은 18.3%에 불과했다.

김태일·하혜수 공론화위 공동위원장은 "가장 큰 관심사인 통합 추진 시점은 내년 지선 이후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대구 서부권과 경북 북부권 등 일부 지역에서 낮은 찬성률을 보인 점도 주의 깊게 봐야 할 대목이다"고 말했다.

한편 공론화위는 오는 23일 전체위원 워크숍을 개최해 행정통합 기본계획, 특별법, 종합검토 의견을 논의한 뒤 그간의 토론회, 여론조사 등을 종합해 29일 시·도지사에게 최종 의견을 제출할 예정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