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중권 전 동양대 교수는 21일 "윤석열 전 검찰총장은 문재인 정권이 법적·형식적 공정을 깨버린 상황에서도 칼을 이쪽과 저쪽에 공정하게 댔기 때문에 '공정의 상징'으로 떠오른 것"이라고 진단했다.
진 전 교수는 이날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윤석열 전 검찰총장을 지지하는 전문가그룹 '공정과 상식을 위한 국민연합(공정과 상식)' 출범 기념 토론회'에서 기조발제자로 나서 "윤 전 총장을 통해 표출된 건 법적·형식적 공정에 대한 욕구"이라며 이같이 설명했다.
그는 "공정이 시대의 화두가 됐지만 이 정권이 들어와서 '공정'이라는 게 깨졌다는 것이 너무 극명하다"며 "윤 전 총장만의 문제가 아니라 우리 사회가 당하고 있는 것이고 모든 대선 주자들이 대답을 내놔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민주화 투쟁이라는 것은 과거에는 기릴 만한 것이 됐을지는 몰라도 이미 이 자체가 상징 자본이 됐고, 그들이 권력의 토대가 돼버렸다는 사실이 이번에 드러났다"며 "이 사태를 전적으로 보여줬던 것이 조국 사태"라고 지적했다.
이어 "노무현 정권까지만 하더라도 보수든 진보든 사회를 진보시켰는데 그 이후 이명박, 박근혜, 문재인 정권 들어서도 사회가 진보한단 느낌이 없다"면서 "특히 민주당은 1987년에 고착돼 있고 딱 하나 남은 게 노무현 마케팅 밖에 없다"고 했다.
진 전 교수는 "(윤 전 총장이) 대권 후보 반열에 올랐지만 그것만으로 충분하진 않다"며 "조국 사태 이면에 깔려 있던 사회적 분노를 제대로 보고 제대로 응답할 때 '진짜 대권 후보' 반열에 오를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여권의 유력 주자인 이재명 경기지사에 대해서는 "기본소득을 이야기하더니, 선심주의 정책이 먹히지 않았다. 그러다보니 이 지사도 (공정 화두에) 숟가락을 올린 것"이라며 "공정이 시대 화두가 되니 아주 포퓰리즘의 전형을 보이고 있다"고 비판했다.
진 전 교수는 마무리 토론에서도 "이 정부가 공정을 무너뜨린 덕분에 윤 전 총장이 대권후보로 반열에 올랐던 것이고, 그것만으로 충분하지는 않다"며 "대권주자로서 사회 전체가 느낀 분노에 대해 제대로 응답해야 한다"고 했다.
진 전 교수는 기조발제에 앞서 "(윤 전 총장에 대한) 견해를 가질 형편이 아니라는 점을 말씀드린다"고 전제하기도 했다.
이날 토론회에는 정용상 동국대 명예교수가 좌장을 맡아 진중권 전 동양대 교수가 기조발제를, 김민전 경희대 교수, 김태규 변호사가 지정토론을 맡았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