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중권 전 동양대 교수는 21일 "윤석열 전 검찰총장은 문재인 정권이 법적·형식적 공정을 깨버린 상황에서도 칼을 이쪽과 저쪽에 공정하게 댔기 때문에 '공정의 상징'으로 떠오른 것"이라고 진단했다.
진 전 교수는 이날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윤석열 전 검찰총장을 지지하는 전문가그룹 '공정과 상식을 위한 국민연합(공정과 상식)' 출범 기념 토론회'에서 기조발제자로 나서 "윤 전 총장을 통해 표출된 건 법적·형식적 공정에 대한 욕구"이라며 이같이 설명했다.
그는 "공정이 시대의 화두가 됐지만 이 정권이 들어와서 '공정'이라는 게 깨졌다는 것이 너무 극명하다"며 "윤 전 총장만의 문제가 아니라 우리 사회가 당하고 있는 것이고 모든 대선 주자들이 대답을 내놔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민주화 투쟁이라는 것은 과거에는 기릴 만한 것이 됐을지는 몰라도 이미 이 자체가 상징 자본이 됐고, 그들이 권력의 토대가 돼버렸다는 사실이 이번에 드러났다"며 "이 사태를 전적으로 보여줬던 것이 조국 사태"라고 지적했다.
이어 "노무현 정권까지만 하더라도 보수든 진보든 사회를 진보시켰는데 그 이후 이명박, 박근혜, 문재인 정권 들어서도 사회가 진보한단 느낌이 없다"면서 "특히 민주당은 1987년에 고착돼 있고 딱 하나 남은 게 노무현 마케팅 밖에 없다"고 했다.
진 전 교수는 "(윤 전 총장이) 대권 후보 반열에 올랐지만 그것만으로 충분하진 않다"며 "조국 사태 이면에 깔려 있던 사회적 분노를 제대로 보고 제대로 응답할 때 '진짜 대권 후보' 반열에 오를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여권의 유력 주자인 이재명 경기지사에 대해서는 "기본소득을 이야기하더니, 선심주의 정책이 먹히지 않았다. 그러다보니 이 지사도 (공정 화두에) 숟가락을 올린 것"이라며 "공정이 시대 화두가 되니 아주 포퓰리즘의 전형을 보이고 있다"고 비판했다.
진 전 교수는 마무리 토론에서도 "이 정부가 공정을 무너뜨린 덕분에 윤 전 총장이 대권후보로 반열에 올랐던 것이고, 그것만으로 충분하지는 않다"며 "대권주자로서 사회 전체가 느낀 분노에 대해 제대로 응답해야 한다"고 했다.
진 전 교수는 기조발제에 앞서 "(윤 전 총장에 대한) 견해를 가질 형편이 아니라는 점을 말씀드린다"고 전제하기도 했다.
이날 토론회에는 정용상 동국대 명예교수가 좌장을 맡아 진중권 전 동양대 교수가 기조발제를, 김민전 경희대 교수, 김태규 변호사가 지정토론을 맡았다.
댓글 많은 뉴스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