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전국의 5개 소재·부품·장비(소부장) 특화단지에 대한 맞춤형 지원 방안을 25일 확정 발표했다. 경기(반도체), 전북(탄소소재), 충북(2차전지), 충남(디스플레이), 경남(정밀기계)의 소부장 특화단지에 대한 예산 지원을 비롯해 규제 완화 및 기반 시설 개선 등 도움을 주겠다는 내용이다. 하지만 대구·경북은 이번 지원 대상 명단에 빠졌다. 지난해 6월 산업통상자원부가 진행한 소부장 특화단지 공모 사업에 두 지자체가 응모조차 하지 않은 탓이다.
응모를 했다고 해서 특화단지 지정을 받는다는 보장은 없다. 하지만 치열하게 경쟁하다 탈락한 것과 응모 자체를 애초에 포기한 것은 차원이 다른 이야기다. 대구시와 경북도가 응모 신청서조차 안 낸 것은 변명의 여지가 없는 판단 착오다. 이와 관련해 대구시와 경북도가 내놓은 해명이 더 어이없다. "특화단지 지정이 반도체 중심 한두 곳에 그칠 것으로 예상했다." "준비가 쉽지 않았다." "시·군별 응모를 독려했는데 참여가 저조하고 실질적 경쟁력이 없어서 포기했다." "정부의 2차 지정을 기대한다."
이 사업에는 전국 12개 지자체가 응모했으며 이 중 5곳이 특화단지 지정을 받았다. 대구시와 경북도가 치밀히 준비해 경쟁했더라면 승산이 충분히 있었다고 봐야 한다. 하지만 지레 겁부터 먹고 포기한 결과, 타 지역을 부러워해야 하는 처지가 됐다. 대구시와 경북도는 소부장 산업을 지역의 미래 먹거리로 키우겠다며 누차 강조해 왔다. 하지만 막상 정부가 지방에 선물을 주겠다고 펼친 밥상에는 숟가락도 못 얹었다.
이래 가지고서는 지역 홀대 같은 말을 어디 가서 꺼내기조차 민망할 지경이다. 지역 공직사회의 무사안일이 어느 정도인지 냉정히 돌아봐야 한다. 안 그래도 지역 경제는 뭐 하나 제대로 풀리는 게 없고 존재감 없는 TK 정치권의 도움도 난망(難望)인 상황이다. 그렇다면 공무원들이라도 더 열심히 뛰어서 정부 예산이든 사업이든 따 와야 하는 것 아닌가. 대구시와 경북도의 각성과 분발을 촉구한다.
댓글 많은 뉴스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