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전국 유일 '청송 항일의병공원' 道 단위 기관 승격 된다

이철우 도지사 "나라에서 관리할 곳을 기초단체가…"
경북도, 독립운동기념관 산하 기관으로 편입 검토

지난 1일 청송 항일의병기념공원에서 제11회 의병의 날 맞이 추모제례가 열렸다. 참석자들의 모습. 경북도 제공
지난 1일 청송 항일의병기념공원에서 제11회 의병의 날 맞이 추모제례가 열렸다. 참석자들의 모습. 경북도 제공

전국 유일의 의병 추모 역사공원인 경북 청송 항일의병기념공원이 도(道) 단위 기관으로 승격될 전망이다.

이철우 경상북도지사는 최근 개인 SNS를 통해 "전국 항일의병 유공자 2천690명 중 대구경북에 498명, 그 중 청송에 93명으로 가장 많다"면서 "전국에 한 곳 뿐인 항일의병기념공원이 청송에 있다"고 했다. 이어 "나라가 관리해야 할 이곳을 지금까지 조그만 기초단체(청송군)가 관리해오고 있다는 것은 말이 안 된다"면서 "마땅히 국가보훈처에서 관리해야 한다. 아니면 경북도에서라도 하겠다"고 입장을 밝혔다.

2011년 개관한 청송 항일의병기념공원은 예산 70여억원이 들어간 규모있는 역사공원이다. 그러나 청송군이 열악한 재정 여건 속에 최소한의 운영 및 유지·관리 정도만 해오고 있다. 이런 탓에 시설은 물이 새는 등 낙후되고 방문객도 적어 사실상 방치됐다는 지적이 많다.

이런 가운데 이철우 도지사가 전향적 입장을 밝힘에 따라 기관의 승격이 유력해졌다. 국가보훈처가 전국에 보훈시설만 2천여 개가 넘는다며 일일이 국가가 다 맡을 수 없다는 입장을 내놓으면서 경북도가 직접 맡는 방안이 거론된다.

경북도는 해당 시설을 안동에 있는 경상북도독립운동기념관 산하 기관으로 편입해 운영하는 방안을 유력하게 검토하고 있다. 현재 3명인 직원을 전문학예사 등을 충원해 5명으로 늘린 뒤 본격 활용하겠다는 구상이다.

경북도는 경북의 유교문화, 일제 강점기 독립운동 사이의 공백을 의병정신이 채우게 된다면 상징성이 매우 클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향후 경북독립운동기념관과 청송의 의병공원, 주왕산 등을 연계한 견학·관광 프로그램을 함께 운영하면 큰 효과를 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한편, 이 도지사는 지난 1일 취임 후 처음으로 의병의 날 추모 제례에 참석, "의병정신은 독립정신의 모태가 됐고 경북인의 정신에 면면히 이어져 경북을 대한민국의 중심에 서게 했다"며 "다시 대한민국의 중심에 서기 위해 의병정신을 계승 발전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