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미러 정상회담에 외신 "돌파구 없어…인권·사이버 문제 긴장"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AP "이견 드러낸 회담"…CNN "양국관계, 전과 거의 같아 보여"
타스, 전문가 인용 "전반적 긍정적…양측 간극 여전히 매우 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왼쪽)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오른쪽)이 16일(현지시간) 정상회담 장소인 스위스 제네바의 빌라 라 그렁주 에서 만나 악수하고 있다. 연합뉴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왼쪽)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오른쪽)이 16일(현지시간) 정상회담 장소인 스위스 제네바의 빌라 라 그렁주 에서 만나 악수하고 있다. 연합뉴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16일(현지시간) 스위스 제네바에서 첫 정상회담을 마친 뒤 외신에서는 다소 회의적 반응이 나왔다. 이번 정상회담이 양국 관계 개선에 큰 전환점이 되지 못했다는 평가에 무게가 실린다.

미국 뉴욕타임스(NYT)는 "푸틴과 바이든이 정상회담에서 소득이 있었다고 언급했지만 긴장감은 분명하다"며 사이버 공격, 인권 등의 현안에서 이견이 여전하다고 지적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러시아의 미국 대선 개입 및 해킹 의혹에 대해 "우리는 상당한 사이버 능력을 갖추고 있다고 알려줬다"며 보복 가능성을 시사했으나 푸틴 대통령은 러시아의 사이버 공격 의혹을 부인했다.

AP통신은 "바이든과 푸틴이 정상회담 뒤 양국관계에서 '재설정'이라는 단어를 쓰지 않았다"며 이번 회담을 통한 양국관계 개선에 한계가 있다는 분석을 내렸다. 이어 "두 정상은 소규모 영역에서 협력할 수 있음을 시사했지만 분명한 이견을 드러낸 회담이었다"며 "그들은 상호 존중과 상호 회의감을 동시에 전달했다"고 덧붙였다.

미국 정치전문 매체 더힐은 "이번 정상회담이 미국과 러시아 간 지난 몇 년의 높은 긴장감을 낮출 것으로 보인다"면서도 "서방의 제재에도 사이버 공간에서 점점 공격적이고 대담해지는 러시아의 행동에 변화를 가져올지는 불분명하다"고 전망했다.

CNN방송은 정상회담 성과와 관련해 "미국과 러시아 관계는 전과 거의 같은 것처럼 보였다"고 총평했다. 이 매체는 두 정상이 자국으로 귀국한 양국 대사들을 조만간 임지로 복귀시키고 사이버 안보 협의를 시작하기로 하는 등 일정 부분 성과가 있었으나 정상회담이 커다란 돌파구가 아니었다"고 전했다.

러시아 언론인 타스통신도 전문가를 인용해 정상회담이 양국 관계의 돌파구가 되지 못했다고 인정하면서 결과는 다소 긍정적이라고 평가했다. 영국 BBC방송 역시 바이든 대통령과 푸틴 대통령의 첫 정상회담에서 구체적 진전이 거의 이뤄지지 않았다고 분석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