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낙동강 취수장 해평 이전, 구미선…"지역 발전" vs "여론없는 부실 용역"

찬성 측 "정부 지원 방안 요구"…반대 측 "경제성 검토 안했다"

구미 해평취수원 모습. 매일신문 DB
구미 해평취수원 모습. 매일신문 DB

대구 취수원의 취수장 해평 이전이 24일 의결됐다는 소식에 구미에서는 찬반이 엇갈리고 있다.

구미 해평면 청년협의회를 주축으로 하고 있는 '해평취수원 상생 주민협의회'(이하 주민협의회)는 찬성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올해 초부터 주민협의회는 '지역 발전'을 전제로 해평취수장의 대구와 공동이용 문제를 공식적으로 논의할 수 있다는 것을 내세웠다.

주민협의회 측은 "그동안 해평취수장이 들어서면서 해평면 발전이 제자리 걸음을 하고 있었다"면서 "낙동강 통합물관리방안이 의결된 만큼 환경부와 대구시, 구미시가 해평취수장 공동이용과 관련해 하루빨리 공식적인 논의를 시작해 해평 발전을 앞당기는 기회가 돼야 한다"고 촉구하고 있다.

이날 구미경실련도 "어떤 정부지원 방안이 구미 발전에 최대 효과를 낼 수 있는지에 대해 심도있게 논의해야 한다"고 밝혔다.

조근래 구미경실련 사무국장은 "구미보상정부지원방안에 대한 지역사회 공론화가 긴급한 시점"이라며 "지역발전에 훨씬 큰 이익을 얻기 위해서는 구미시는 각계각층의 아이디어를 수렴해 정부지원방안을 요구해야 한다"고 했다.

그러나 구미의 정치권과 일부 시민단체는 이번 결정에 크게 반발하고 있다.

이날 김영식 국회의원(국민의힘·구미을)은 "주민 동의 없는 이번 결정은 제고돼야 하며, 수질 개선 등 근본 대책이 선행되지 않은 취수원 이전 사업은 철회돼야 마땅하다"며 "낙동강 수질 개선 방안과 취수원 다변화 방안으로 이같이 승인된 것에 유감을 표명한다"고 입장문을 발표했다.

구미시 민·관협의회 및 범시민반대추진위원회는 25일 구미시청 앞에서 환경부의 낙동강 통합물관리방안 수용 불가 집회를 예고했다.

윤종호 구미시 민·관협의회 위원장은 "환경부가 성과 도출에 급급하다보니 이전하려는 논리에 초점을 맞춰 주먹구구식으로 부실 용역을 실시했다"며 "환경부가 구미시민 여론 수렴 없이 용역을 진행했고, 경제성도 제대로 검토되지 않아 정책 결정 자료도 미흡하다"고 지적했다.

앞서 구미YMCA 등 시민단체들은 23일 성명을 내고 "낙동강유역물관리위원회는 취수원이전계획 심의 취소하라"고 촉구했다.

이들 시민단체는 "섣부른 취수원 이전사업은 지역간 주민들의 갈등을 가져올 뿐이며 낙동강을 살리는데 악영향만 초래할 것"이라며 "오류 투성이의 불완전한 낙동강 통합물관리방안은 재검토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