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숙지지 않는 동국대 의대의 외지 이전 루머 유감스럽다

경북 유일의 대학병원이자 경북 동부권 의료의 중추 인프라인 동국대 의대(경주병원) 타지 이전설이 사그라들지 않고 있다. 급기야 배진석 경북도의원(경주)이 도의회 본회의에서 "김해시장이 대학병원 유치를 선거 공약으로 내세워 수년간 동국대 및 학교법인 측과 밀접 접촉을 해왔다"는 주장까지 제기하기에 이르렀다.

동국대 의대 김해 이전 시나리오의 경우 가능성이 낮다고 볼 수 있지만 항간에 나도는 수도권 이전설은 마냥 흘려들을 수 없다. 서울 강남 입시학원가에서 동국대 의대가 일산으로 이전한다는 소문마저 나도는 터이다. 게다가 동국대가 추진 중인 의료 관련 학과의 서울·경기도 간 교환 이전 계획을 고려할 때 동국대 의대의 수도권 이전설을 허무맹랑한 루머라고만 치부할 수는 없다.

동국대 의대 수도권 이전설의 기저에는 경주병원 운영난이 깔려 있다고 볼 수 있다. 동국대 경주병원은 2016년 이후 적자가 이어지고 있으며 우수 의료진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환자 임상 케이스가 많지 않아 의대 본과 학생들의 교육 여건이 상대적으로 열악하다고도 한다. 하지만 이는 지방 중소도시 소재 대학병원이라면 예외일 수 없는 문제인데 이를 핑계로 의대를 다른 곳으로 옮기자고 하는 것은 온당치 않다.

동국대 의대가 이전하면 경북 동부권 지역 의료 공백은 불을 보듯 뻔하다. 안 그래도 경북은 치료 가능 사망률이 전국에서 가장 높고 인구 10만 명당 의대 정원이 전국 최하위권이어서 포항과 안동에 의대를 신설해야 한다는 여론마저 높다. 그런 판국에 있는 대학병원마저 없어지는 것을 누가 납득하겠는가. 또한 경북에 의대를 두는 것이 동국대 의대 설립 조건이었던 만큼 의대 이전은 설립 취지를 정면으로 어기는 것이며 법적으로도 문제 소지가 있다. 경북 동부권의 의료 공백을 막고 의료 분권을 지키기 위해서라도 동국대 의대 수도권 이전설은 더 이상 흘러나와서 안 된다. 학교 측의 명확한 입장 표명을 촉구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