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백신예약 재개 시작 전에 '뒷문'으로 예약?…온라인에 링크 돌아다녀

추진단 "정식오픈 전 기능점검 중 접속 열려…재발 방지 조처할 것"

사전예약 시스템에 정상으로 접속하면 한꺼번에 접속자가 몰리면서 접속대기를 해야한다. 하지만 14일 예약 재개가 시작되기 전에도 링크를 통해 우회접속을 하면 예약이 가능했던 것으로 드러났다. 코로나19 예방접종 사전예약사이트 캡처
사전예약 시스템에 정상으로 접속하면 한꺼번에 접속자가 몰리면서 접속대기를 해야한다. 하지만 14일 예약 재개가 시작되기 전에도 링크를 통해 우회접속을 하면 예약이 가능했던 것으로 드러났다. 코로나19 예방접종 사전예약사이트 캡처

만 55∼59세 대상 코로나19 백신 접종 사전예약이 지난 14일 재개된 가운데 질병관리청이 정한 시작 시점인 오후 8시 이전에도 사전예약 시스템에 접속할 수 있었던 것으로 드러났다.

오후 8시 이후 신청자가 한꺼번에 몰리면서 접속 장애 현상이 일어났지만, 특정 링크만 알고 있으면 먼저 예약이 가능한 '뒷문'이 있었던 것이다.

연합뉴스는 14일 오후 7시 30분쯤부터 온라인 커뮤니티에 '백신 예약이 지금 가능하다. 이미 부모님이 맞으실 백신 예약을 마쳤다'는 내용의 글이 잇따라 올라왔다고 보도했다. 글 작성자들은 8시 이전에 들어가서 예약할 수 있는 링크를 다른 커뮤니티 이용자들에게 소개하기도 했다.

해당 링크를 클릭하면 질병청 코로나19 예방접종 사전예약 시스템 홈페이지의 '예약하기-1단계) 예약정보 입력' 페이지로 곧바로 연결됐다. 이곳에서는 문제없이 접종자 이름과 주민등록번호, 의료기관·예약일시 등의 정보 입력이 가능했다고 커뮤니티 이용자들은 전했다.

하지만 오후 8시 전에 일반적인 경로를 통해 사전예약 시스템 홈페이지에 접속하게 되면 '코로나19 접종예약 준비 중입니다. 잠시 후 7월 14일 20시부터 예약이 시작됩니다'라는 문구가 표시됐다.

즉 메인페이지는 닫아두었지만, 예약페이지에 연결되는 링크는 그대로 열여둔 상태였던 것이다.

이같은 상황을 알게 된 예약 대기자들은 불만을 토로했다. 링크로 직접 접속하는 방법을 모르면 예약 시스템 접속까지 최대 몇 시간씩 대기해야 했기 때문이다.

55∼59세 전체 접종 대상자는 약 352만4천명이다. 이들 중 지난 12일 예약을 하지 못한 상당수가 14일 재개된 시점에 동시에 몰리면서 접속이 폭주했다.

정우진 코로나19 예방접종대응추진단 시스템관리팀장은 "정식 예약 오픈 전 서버를 재기동하고 기능 점검을 하느라 오후 7시를 조금 넘겨서부터 예약 시스템에 접속이 가능했다고 볼 수 있다"며 "메인 페이지만 접속을 막아 둔 것이어서 링크를 이용한 접속이 물리적으로 불가능하지는 않았다"고 연합뉴스를 통해 설명했다.

그러면서 "예약 시스템의 보안 약점을 찾아볼 것"이라며 "이번에는 급하게 예약 시스템을 여느라 제대로 살펴보지 못한 부분이 있는 것 같은데, 다음 예약 때는 비슷한 일이 일어나지 않도록 조처하겠다"라고 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