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재가 인정됐다고 끝난 게 아닙니다. '제2의 덕준이'가 발생하지 않도록 안전한 근로환경을 만들어야 합니다."
지난해 10월 12일 경북 칠곡 쿠팡 물류센터에서 야간 업무를 끝낸 후 자택 욕실에서 숨을 거둔 고 장덕준(당시 27세) 씨.
그가 세상을 떠난 지 1년이 지난 가운데, 장 씨 어머니 박미숙(53) 씨는 "아들이 생전에 사놓은 건담 프라모델을 보면 눈물이 난다"며 "쿠팡이 재발방지대책을 하루빨리 마련하고 적용해야 한다"고 거듭 강조했다.
◆아들의 죽음에 대한 의문 파헤쳐
지난 1년간 박 씨는 아들 죽음에 대한 의문을 혼자서 밝혀내야 했다. 박 씨는 "쿠팡이 노동자들을 하나의 기계 부속품으로 보고 있다"며 "노동자들이 최소한의 인권을 보장받을 수 있는 근로환경에서 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 씨가 병원으로부터 받은 아들의 사망진단서에는 '원인미상', 부검결과도 '급성심근경색'이었다. 박 씨는 이를 받아들이지 못했다. 그러다 아들의 장례식장에서 만난 쿠팡 동료들로부터 쿠팡의 열악한 근로환경을 전해 듣고 이상하다는 것을 직감했다.
박 씨는 "아들 직장동료들이 '덕준이가 근로 기간 동안 일이 많았고, 고생도 많았다'고 말했다. 또 사망하기 전날에도 덕준이가 증상을 호소했지만, 쿠팡이 어떠한 조치도 하지 않았다"고 했다.
하지만 산재 인정은 쉽지 않았다. 박 씨는 "산재 신청을 위해선 임금대장이 필요하지만 쿠팡이 준 서류는 근로계약서와 근무기록지가 전부였다"면서 "임금대장 요구는 거절당했다. 아들의 급여 통장과 4대보험 납부 내역을 역추적할 수밖에 없었다"고 말했다.
급여를 확인하는 과정에서 지난해 8월 장 씨가 7일 연속 야간근로를 하는 등 과도한 노동을 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에 아들의 업무강도 자료를 근로복지공단에 요구했지만, 쿠팡으로부터 '제공할 의무가 없다'는 답변을 들었다. 우여곡절 끝에 올해 2월 산재가 인정됐다. 산재를 신청한 지 약 4개월 만이었다.
◆ "쿠팡의 미온적인 태도는 비난받아야…"
박 씨는 아들 장 씨를 떠나보낸 지난 1년간을 회상하면서 쿠팡의 태도가 미온적이었다고 지적했다. 특히 유족에 대한 진심 어린 사과와 과로사 재발방지대책 마련에 미흡했다고 강조했다.
박 씨에 따르면 장 씨가 사망했을 때 쿠팡에서는 어떠한 사과의 메시지도 없었다고 한다. 그는 "짧은 시간도 아니고 1년 4개월이나 일한 직원이 사망했는데 흔한 조화 하나를 받아보지 못했다. 우리가 산재 인정을 위한 자료를 요청할 때 말고는 연락을 주고받은 게 없었다"고 말했다.
그러다 올해 2월 9일 산재가 공식적으로 인정되자, 그날 저녁 7시쯤 박 씨는 쿠팡 측으로부터 첫 전화를 받았다. 이후 박 씨는 아들과 같은 사례가 발생하지 않도록 '재발방지대책'을 요구했지만 진전이 없었다.
이후 박 씨는 물류센터 내 야간근로자들에 대한 건강검진 용역 실시와 결과를 공개해 달라고 쿠팡 측에 요구했다. 쿠팡이 이 같은 요구를 받아들였지만, 결과에 대한 공개는 지금까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안전한 근로환경 조성의 시작이 되길
박 씨는 쿠팡 내 근로환경은 여전히 열악하며 바뀐 게 없다고 했다. 가장 먼저 물류센터 내 냉·난방기가 없다는 점을 꼽았다.
박 씨에 따르면 아들은 여름이 다가오기 전인 4월에도 땀에 흠뻑 젖은 채 집에 돌아오곤 했다. 아울러 물류센터에서는 휴게시간이 보장될 수 없는 구조라는 점도 지적했다. 쿠팡 물류센터 내 근로자들은 40분의 식사 시간과 20분 휴게시간이 주어진다. 하지만 물류센터가 워낙 큰 탓에 이동하는 데에만 수 분이 소요된다. 배식을 기다리는 긴 행렬 탓에 식사 시간도 부족하다.
박 씨는 쿠팡 물류센터 내 근로자들은 밥을 먹는 게 아니라 '밥을 퍼 몸에 넣고 있다'고 표현했다.
이 같은 근로환경을 두고 박 씨는 쿠팡이 재발방지대책을 하루빨리 마련하고 적용해야 한다고 거듭 강조했다. 그는 "코로나19로 단순 아르바이트였던 쿠팡의 일을 생업으로 생각하고 있는 젊은이들이 많다. 지금과 같은 환경에서는 누구나 제2의 덕준이가 될 수도 있다. 쿠팡은 근로자들이 안전하게 일할 수 있는 환경 조성을 우선시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쿠팡은 근로자들의 안전과 건강관리를 우선시하고 있다는 입장이다. 쿠팡 측 관계자는 "야간근로자를 위한 건강진단 대상을 현행법 기준보다도 대폭 확대해 시행하고 있다. 또 대형선풍기 외 탁상용 에어서큘레이터 등 물류센터 곳곳에 수천 대 냉방기가 운영 중이며, 얼음물과 쿨토시·스카프도 지급하고 있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