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드 코로나' 태세에 들어섰던 영국이 급증하는 코로나19 확진세에 연말쯤 다시 봉쇄해야 할 수 있다는 경고 속에서도 예정대로 입국 규제를 완화했다. 정부는 백신 접종률 확대로 대응한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잉글랜드는 24일(현지시간) 해외 입국자 대상 코로나19 검사 방식을 기존 유전자증폭(PCR)에서 가격이 절반 이하인 신속 검사로 대체했다. 영국이 인정하는 코로나19 백신 접종을 마치고서 입국 제한 국가(적색국가)가 아닌 곳에서 온 경우에 해당한다.
앞서 1주일 전에는 웨일스가 이런 방식을 도입했다. 스코틀랜드와 북아일랜드도 같은 조치를 도입할 방침이다.
이는 가을방학을 맞아 가족 단위로 여행하려는 이들 비용을 낮추는 것이 주 목적이다. 이런 변화를 바라는 현지 여행업계 요구가 컸다.
다만 영국에선 최근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하루 5만명 대로 늘어나는 등 방역 규제를 다시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았다.
NHS 연합 대표와 영국의학협회(BMA) 회장 등 의료 전문가들은 '힘든 겨울'을 경고하며 백신 패스 도입, 실내 마스크 착용, 재택근무 권고 등 정부의 '플랜B'를 빨리 도입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정부의 신규 호흡기 바이러스 위협 자문그룹(New and Emerging Respiratory Virus Threats Advisory Group·NERVTAG) 소속 피터 오픈쇼 교수는 최근 BBC 인터뷰에서 "현재 감염자와 사망자 숫자는 용납할 수 없는 수준이다. 재택근무와 마스크 착용 등 조치가 필요하다"며 '성탄절 봉쇄' 우려를 밝혔다.
이에 반해 영국 정부는 백신 접종을 강조하면서 '플랜B' 필요성을 인정하지 않았다.
보리스 존슨 총리는 "우리가 이번 겨울을 헤쳐갈 방법은 백신"이라고 말했다. 영국은 50세 이상 등 대상 부스터샷(추가접종)과 12∼15세 청소년 백신 접종을 진행 중이다.
리시 수낙 재무장관도 BBC 인터뷰에서 아직 '플랜B' 도입 필요성이 없다고 본다고 말했다.
그는 자신을 포함한 보수당 의원들이 의사당에서 마스크를 안 쓰는 것을 두고 벌어진 논란과 관련한 질문에는 답변을 회피하면서 "정부 지침은 상황에 따라 결정하란 것이고 모든 직장의 여건이 다르다"고 말했다.
더 타임스에 따르면 사지드 자비드 보건장관은 의료계 인력 백신접종을 의무화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부스터샷 대상을 성탄절 이후 50세 미만 연령대로 확대하는 방안도 준비 중이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
검찰, '尹 부부 사저' 아크로비스타 압수수색…'건진법사' 의혹 관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