징벌적 손해배상제도를 포함한 언론중재법 개정안에 대해 국민 4명 중 3명 이상이 찬성한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한국언론진흥재단 미디어연구센터가 20~60대 성인남녀 1천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의 76.4%가 언론중재법 개정안에 찬성한 것으로 나타났다. '매우 찬성한다'는 답변도 34.9%에 달해 '매우 반대한다'(10.2%)라고 답한 응답자보다 3배 이상 많았다. 해당 법안에 대해 '관심 있다'고 답한 응답자는 77.3%(매우 관심 많다 27.8%, 약간 관심 있다 49.5%)였으며, 법안이 통과돼 제도화된다면 우리나라 언론 발전(언론신뢰도 향상 등)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의견 역시 81.9%(매우 클 것 35.0%, 약간 있을 것 46.9%)에 달했다.
KBS 수신료 인상안에 대해서는 반대 의견이 압도적이었다. 수신료 인상 반대 의견은 84.1%에 달했고 수신료 인상이 공영방송 발전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의견은 35.4%에 그쳤다.
이 외에 인앱결제 방지법은 언론중재법 개정안과 비슷하게 72.5%가 찬성했으며, 지상파방송 중간광고 도입은 69.3%가 반대했다. 게임 셧다운제 폐지는 찬반이 각각 53.5%, 46.5%로 엇비슷하게 나타났다.
올해 미디어 및 언론분야 사건·사고의 심각성 인식 조사에서 '매우 심각하다'는 답변 비중이 높은 사안을 보면, SBS '조선구마사' 논란(53.2%), MBC 올림픽 중계 실언(48.1%), 안산에 대한 페미니스트 논란(40.9%), 조선일보 일러스트 부적절 사용(39.2%) 등 순이었다.
이에 대해 언론진흥재단 관계자는 "역사 왜곡 문제, 국가 간 스포츠 교류에서의 상호존중 문제, 양성평등 문제 등 생활밀착형 이슈에 대해선 사람들이 비교적 많은 관심을 가지지만, 언론 분야 이슈는 상대적으로 관심 수준이 낮다"고 설명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