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영남권 5개 시·도 메가시티 사업, 행정 협조 없으면 헛꿈

영남권 5개 시·도의 미래 발전 밑그림이 대구시와 경북도 등 영남권 5개 시·도로 구성된 '영남권 미래발전협의회 실무협의회'에서 제시됐다. 지난해 8월 발족된 영남권 5개 시·도의 '영남권 미래발전협의회'가 추진한 '영남권 발전방안 공동연구'를 통해 이날 공개된 청사진에서는 5개 영남권 시·도가 상생을 위해 힘을 모을 7개 분야 33개 핵심 사업과 111개 세부 사업이 포함된 만큼 관심이 쏠릴 수밖에 없다.

이날 '대륙과 해양을 잇는 동아시아 거점도시'라는 구호 아래 74조 원을 들여 5개 영남권 시·도가 그릴 '영남권 메가시티'가 구상대로 추진될 경우, 수도권 집중화에 따른 지방소멸 위기에서 영남권이 공동 번영의 기반을 다지는 바탕이 될 수도 있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영남권 거점도시를 1시간 생활권으로 만들 수 있는 광역철도·도로망 등을 갖추게 되면 수도권과는 또 다른 광역 발전축의 역할을 할 장밋빛 전망도 가능할 수 있다.

게다가 상수원(낙동강) 수질개선사업과 의료자원의 공유 및 연계사업은 1천200만 영남인들의 안전한 삶 확보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또 한 울타리의 오랜 역사를 통해 향유해 온 영남권의 공통된 자연, 역사, 문화를 활용한 관광사업과 영남권의 독특한 지리 환경, 강과 바다를 활용한 연계사업 역시 영남인의 삶을 윤택하게 하고 외지인의 관광 발길을 끌 만한 자원이 될 수도 있어 공동 투자와 개발의 필요성이 높은 분야이다.

그러나 이번에 발표된 영남권 미래 발전을 위한 청사진이 구체화되기 위해서는 넘어야 할 산이 많다. 무엇보다도 5개 시·도의 경계를 허무는 행정 협력이다. 이미 5개 시·도 지역 전문가 집단(509명) 여론조사에서 드러난 것처럼 지자체 간 협력에 대해 39%가 잘 되지 않는다는 답변이 좋은 증거이다. 따라서 5개 시·도가 어렵게 마련한 미래 발전 밑그림의 성공과 성과를 위해서는 광역 행정 협력의 토대 구축이 전제돼야 한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