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대선 후보로 홍준표 의원을 지지한 청년층이 경선 결과에 반발하며 탈당 인증을 이어가고 있다. 윤석열 대선후보 핵심 지지층인 중장년층 당원을 맹비난하는 등 세대 갈등으로 비화할 조짐까지 나타나고 있다.
윤 후보 선출 사흘 째인 7일 국민의힘 홈페이지 게시판에는 경선 결과에 불만을 나타내며 탈당을 인증하는 게시물이 잇따르고 있다. 이들 대부분은 스스로를 '2030세대·홍준표 지지자'라고 밝혔다.
한 작성자는 "기득권 정치인들과 6070 당신들이 새바람 2030을 걷어찼다. (홍 의원 지지를) 민주당의 역선택이라고 조롱하고, 우리를 '민주당 프락치'로 만드는데 어떻게 그 지지자들과 '원팀'이 되겠나"라며 "절이 싫으면 중이 떠나야지"라고 적었다.
국민의힘은 아직 공식적으로 탈당자 집계를 하지 않고 있으나, 현장에서는 탈당자 수가 수천 명에 이르는 것으로 파악하는 모습이다.
국민의힘 관계자는 "경선 후 낙선자 지지층이 일부 이탈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고, 현재까지 그 규모도 통상적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일부 지지자가 당에 실망하는 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윤 후보를 지지한 세력과 그렇지 않은 세력 간 세대 갈등으로까지 확장하는 모양새다.
당원 게시판에는 청년층이 중·장·노년층을 "민심보다 당심이 먼저인 노인의 힘"이라거나 "틀니의 힘"이라 조롱하고 "머리에 피도 안 마른 것들"이라든지 반대로 청년층에 대해 "불쌍한 '철딱들'(철없는 따까리들)"이라고 받아치는 비방전이 이어진다.
이날 오전 홍 의원이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와 윤 후보가 맞붙는 본선을 일러 "비리 의혹 대선"이라고 앙금을 드러낸 것도 갈등에 기름을 부었다. 윤 후보 지지자들은 홍 의원의 태도를 두고 '경선 불복'이라며 강하게 반발하고 나섰다.

윤 후보 입장에선 자신의 취약점인 청년층 표심을 잃는 상황에, 자신의 지지자들이 청년들과 대립하는 것이라 입장이 난처하게 됐다.
윤 후보 측 인사는 "SNS 특성상 소수의견이 과잉표집 된다는 한계는 있지만, 그게 실제 여론으로 인식되고 번지는 게 위험 요인"이라며 우려를 표시했다.
당내에선 이번 대선 정국에서 '히든카드'가 될 것이라 기대했던 경선흥행 효과마저 물 건너간 갔다는 푸념도 나온다.
한 지도부 인사는 "당이 배출한 대선 후보에 대해 당심과 민심이 괴리된 점은 현 상황에서 부정하기 어려운 사실이다. 여진이라도 최소화하도록 모두 경각심을 가져야 한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