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9월까지 국세 수입이 작년 같은 기간보다 약 60조원 더 걷힌 것으로 집계됐다.
경기 회복세로 법인세·소득세 등이 늘어난 영향이다.
하지만 나라살림 적자는 75조원에 달했고 국가채무도 증가세를 이어갔다.
16일 기획재정부가 발표한 재정동향에 따르면 올해 1∼9월 국세수입은 274조5천억원으로 작년 동기 대비 59조8천억원 늘었다.
1∼9월 진도율(연간 목표 대비 수입 비율)은 87.3%로 집계됐다.
구체적인 세목별로 보면 경기 회복세로 기업 실적이 개선되면서 법인세(65조2천억원)가 15조1천억원 늘었다.
자산시장 호조와 취업자 수 증가로 양도소득세·근로소득세 등 소득세(86조9천억원)도 21조8천억원 늘었고, 부가가치세(56조5천억원)도 8조8천억원 증가했다.
9월 한 달 기준으로 보면 국세수입은 26조3천억원으로 작년 동기 대비 4조1천억원 더 걷혔다.
국세수입은 올해 1월부터 9월까지 9개월째 전년 동월 대비 증가세를 보였다.
이와 관련 국세수입과 세외수입, 기금수입을 모두 합친 1∼9월 총수입은 442조4천억원으로 작년 동기 대비 88조원 늘었으며, 1∼9월 총지출은 472조원으로 37조2천억원 증가했다.
이에 따라 1∼9월 통합재정수지(총수입-총지출)는 29조6천억원 적자를 기록했다. 다만 적자 폭은 작년 동기 대비 50조8천억원 감소한 수치다.
통합재정수지에서 4대 보장성 기금을 뺀 정부의 실질적인 재정 상태를 의미하는 관리재정수지는 74조7천억원 적자로 집계됐다.
적자 폭은 작년 동기 대비 33조8천억원 줄었다.
9월 기준 국가채무는 926조6천억원으로 8월(927조2천억원) 대비 6천억원 감소했다. 9월 중 국고채 상환이 이뤄진 영향이다.
다만 10월 기준 국가채무는 936조5천억원으로 다시 늘었다.
이에 대해 안도걸 기재부 2차관은 "3분기까지 예상보다 큰 폭의 세수 개선세가 지속됐으나 4분기에는 자산시장 안정화와 코로나 피해 업종에 대한 부가세 납부 유예 등 세정 지원 조치의 영향으로 세수 개선세가 둔화할 전망"이라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국고채는 안정적으로 시장에서 소화되고 있으나 향후 국채시장을 면밀히 점검하면서 필요할 경우 국고채 발행량 조절이나 한국은행과의 정책 공조 등 시장안정조치를 적기에 시행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댓글 많은 뉴스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