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이가 들어가면서 좋은 점이 있다면, 아름다운 것을 볼 수 있는 시야가 넓어지고, 식견은 깊어진다는 점이다. 그 중에 하나가 꽃이다. 어렸을 때는 꽃이 예쁜 줄 몰랐다. 꽃은 그저 축하할 일, 기념일에 주고받는 관습 같은 거라 생각했다. 꽃의 아름다움을 먼저 보지 못하고, '시들면 버릴 텐데'라는 생각부터 했다.
시들 수 있기에 꽃이 더 아름답다는 것을 그때는 몰랐다. 꽃은 생명과 삶처럼 유한하다는 것을 한 송이 꽃으로 드러내준다. 그 의미를 모른다 해도 아름다움을 보고 반하지 못했던 그 시절이 안타깝다. 꽃이 주는 기쁨과 위로를 조금 빨리 알았다면 좋았을 텐데.
기분이 처지거나 변화를 주고 싶을 때면 꽃집을 찾는다. 마음에 들어오는 꽃을 한 아름 사들고 나와, 운전석 옆자리에 꽃 한 다발을 놓고 운전을 하면 기분이 한결 나아졌다. 바쁘고 복잡한 일상 속에서 꽃을 바라보고 만지는 것만으로도 충분한 위안이 되었다.
며칠 전 인터넷 검색을 하다 화훼농가에 대한 기사를 보게 되었다. 코로나로 각종 행사가 취소되면서 화훼농가는 어려운 시기를 맞았다. 최근 '위드코로나'로 미루었던 행사들이 조금씩 늘고 있지만, 그 여파는 미미하고 여전히 어렵다는 기사였다. 집안에 머무는 시간이 많아지면서 소소하게 꽃 주문을 하는 사람들은 늘어났지만, 시즌이면 나오는 꽃들이 대량으로 소진되지 않으니 예전만 못하다는 말도 맞을 것이다.
그날은 다른 날과 다르게 온라인으로 꽃을 농장에 직접 주문했고, 며칠 뒤 배송 온 박스를 풀어보고 깜짝 놀랐다. 주문한 꽃 외에 다른 꽃이 들어 있었기 때문이었다. 족히 스무 송이는 되어 보이는 장미 다발에 작은 쪽지가 붙어 있었다.
'두면 버릴 것 같아 그냥 드립니다.' 이걸 보내는 화훼농가 사장님의 마음은 어땠을까. 버려지지 않고, 신문지의 물기를 머금고 잘 도착해준 장미가 대견스러웠다. 나는 장미를 화기에 꽂아 서점 문 앞에 두었다. 햇살에 반짝이는 빨간 장미가 더없이 따뜻해 보였다.
배송 후기 메모란에 이렇게 적었다. '사장님 힘내세요. 덕분에 많은 사람이 아름다운 꽃을 바라봅니다. 곧 다시 좋아질 거예요.'
버려지는 꽃이라고 해서 꽃이 아닌 적은 없었으니, 더 애틋하게 꽃을 바라본다. 천천히 꽃잎을 떨어뜨리는 모습에 마음이 고요해진다. 꽃은 다시 생각해도 위로와 기쁨을 주는 존재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