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성주군은 2022년 '트리플6(본예산 6천억원, 성주참외 조수입 6천억원, 6방향 교통망 구축) 시대' 개막을 위해 농업, 문화관광, SOC, 경제활력에 군정을 집중한다. 농업분야 조수입 1조원 달성, 남부내륙철도 성주역 연계 3대 발전전략의 구체화, 성주~대구 6차로 확장 조기 추진, 성주호 관광지 지정, 축제·체육·문화·관광 산업화, 기업지원 고도화 등 성장·미래먹거리를 동시에 잡는 역점시책을 중점 추진한다.

◆신성장동력 확보
먼저 성주읍과 성주역 등을 중심으로 한 다핵구조 전략으로 지역 균형발전에 나선다. 대구·경북통합과 통합신공항 시대를 대비해 동서남북을 관통하는 사통팔달 광역교통망을 구축하고 역세권 및 배후도시 개발, 자연경관을 활용한 관광자원개발 등의 발전전략을 구사한다. 지난 9월 확정된 제2차 국가도로망종합계획에 따르면, 국가 간선도로 체계가 남북 동서 10×10 격자망으로 재편되며 대구·경북 권역의 성주축이 방사축으로 반영돼 향후 도로망 확충에 기대감이 크다.
성주역과 연계한 국도 30호선 성주~대구 6차로 확장, 동서 3축 성주~대구 고속도로 건설이 추진되면 성주는 대구·경북 중서부권의 교통요지로 듀얼라이프 거점도시로 자리매김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 산업단지혁신지원센터와 스마트공장 구축, 성주형 일자리사업 발굴 등 기업과 소상공인 지원을 위한 사업비 확보에 적극 나서고 한국판 뉴딜2.0 등 자생력과 경쟁력을 높일 성장동력도 꾸준히 확보한다.

◆그린스마트농업
인구절벽, 고령화, 지방소멸 시대 농업의 미래는 ICT과학기술이 융합된 스마트팜 영농과 청년농업인 육성에 있는 만큼, 스마트원예단지 조성과 신품종·신기술·신소득작목 개발, 청년 귀농인 유치 지원 등 지속가능한 농업을 위한 모멘텀을 적극 발굴한다.
고품질 성주참외 생산을 위한 시설원예현대화, 성주형 스마트팜 및 빅데이터 구축, 고설베드 재배 등의 신기술을 도입하고 노동력 절감을 통한 생산혁신에 속도를 낸다. 비대면과 1인 가구 증가에 맞춰 라이브커머스 등 온라인 판매망 다변화와 신규 해외시장 개척, MZ세대 어필에도 적극 나선다.
농산물가공지원센터 운영과 농촌융복합산업지구 조성으로 소비자 욕구에 부응하고 농·축산의 동반성장도 도모한다.

◆굴뚝 없는 황금알 산업
대도시 인근의 이점을 살리고 관광객 수요에 맞춘 언택트 축제와 관광프로그램을 집중 육성한다. 내년 성주생명문화축제 및 성주참외페스티벌은 온‧오프라인을 병행하는 하이브리드형 문화예술축제로 분산해 추진한다. 성밖숲 희망길 와숲은 힐링·치유·쉼을 테마로 맥문동과 왕버들 숲을 활용해 브랜드화한다. 가야산 황금들녘 메뚜기잡이 체험축제를 위한 상설 사육장과 체험장을 운영한다.
생활사 문화관광자원과 성밖숲, 역사테마공원 등 도심 관광지와 성주호 명품 가로수길, 별고을 헬스로드, 백매원 등 지역 명소를 곳곳에 조성해 '보고 즐기고 먹고 쉬어가는' 진정한 관광산업이 되도록 한다.
서부권역 활성화와 균형발전을 위해선 가야산 신비의 숲, 케어팜밸리 조성 등 가야산 일대를 집적 개발하고, 성주호가 제7차 경북권관광개발계획에 신규 관광지로 포함되도록 노력한다. 세종대왕자태실 세계문화유산 등재, 성산포대 이전과 성산성 복원, 사적공원 조성에도 힘을 더한다.
이병환 성주군수는 "성주군은 군민과 함께 새 희망을 만들어 가고 있고, 내년은 민선 8기가 시작되는 중요한 해"라면서, "지금까지 일군 성과가 극대화되고 군민에게 돌아가도록 군정을 챙기겠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