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말, 추운 겨울과 함께 쓸쓸함과 고독을 느낄 때 생각나는 음악이 슈베르트(1797 ~1828)의 '겨울 나그네'이다.
'겨울 나그네'는 '아름다운 물방앗간의 아가씨', '백조의 노래'와 함께 슈베르트의 3대 가곡집 중 하나로 꼽히는 대표적인 연가곡이다. '아름다운 물방앗간의 아가씨'가 청춘의 아름다움과 설렘을 담은 작품이었다면, '겨울 나그네'는 침울하고 어두운 비극적인 노래이다. 실제로 슈베르트는 다가올 죽음을 예감한 듯 가난에 시달리며 고독한 삶을 살고 있었고, 이 곡을 완성한 이듬해 가난과 병 속에서 세상을 떠났다.
사랑하는 연인과의 이별 이후 눈과 얼음으로 뒤덮힌 겨울 들판을 방랑하는 길을 떠나는 내용인 '겨울 나그네'는 슈베르트가 죽기 1년 전에 만들어진 것으로 그와 동시대에 살았던 시인 뮐러(1794~1827)의 시에 음악을 붙여 모두 24개의 가곡으로 이뤄져 있다.
전 곡을 쉼없이 감상하는 것이 좋지만 특별한 줄거리가 없기 때문에 가장 아름답고 많이 알려진 제5곡 '보리수'를 비롯해 잘 알려진 몇 곡을 추려 듣더라도 '겨울나그네'의 분위기를 충분히 느낄 수 있다.
마지막곡인 제24곡 '거리의 악사'는 늙은 악사의 손풍금을 돌리는 모습을 마주하며 시작된다. 쓸쓸하고 고독한 늙은 악사의 모습에 동질감을 느낀 청년은 속절없는 슬픔과 절망을 토해낸다. 이후 청년은 악사에게 함께 여행을 떠나자고 제안하며 긴 이야기는 끝난다.
'마을 저 뒤편에 늙은 악사 한 사람이 서 있네, 얼어붙은 손으로 건반을 누르고 있네. 맨발로 얼음 위에 서서 이리저리 몸을 흔들지만 앞에 놓인 접시에는 동전 한 닢 없네. 아무도 들어주지 않고 아무도 쳐다보지 않네. 개들은 그를 보고 으르렁거리지만 그는 신경도 쓰지 않네. 오로지 연주를 계속할 뿐, 그의 손풍금은 멈추질 않네. 이상한 노인이여, 내 당신과 동행해도 될는지? 내 노래에 맞춰 손풍금을 켜주지 않을래요?'
겨울 한가운데로 접어든 요즘, 찬바람 불고 메마른 가지들이 처량한 모습을 하고 있을 때 '겨울나그네'를 듣고 있노라면 가슴은 한없이 따뜻해짐을 느낀다. 특히 마지막 곡 '거리의 악사'는 늙은 악사의 처량한 모습과 나그네의 한탄이 마치 한없는 고독에 내던져진 황혼의 인생길을 위로해주는 듯 가슴을 울린다.
올 한 해도 얼마 남지 않았다. 뜨겁게 사랑했던 이를 떠나보내는 한 청춘의 서늘하고 차가운 이별을 따라가보는 것은 어떨까.
댓글 많은 뉴스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