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은 23일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의 야당 의원과 언론인 통신자료 조회를 놓고 불법 정치 사찰이라며 공수처 존폐를 거론하는 등 십자포화를 퍼부었다.
공수처는 최근 박수영·윤한홍·조수진 국민의힘 의원 등과 일부 언론사 기자의 통신기록을 조회한 것으로 알려져 파문이 확산되고 있는 상황이다.
윤석열 대선 후보는 SNS에 "명백한 야당 탄압"이라고 규정하고, "며칠 전 언론 사찰이 논란이 되더니 이제는 정치 사찰까지 했다니 충격"이라고 비판했다.
윤 후보는 "공수처가 '빅 브러더'가 지배하는 공포사회를 만들고 있다"며 "의원 사찰은 국민에 대한 사찰이기도 하다. 공수처의 존폐를 검토해야 할 상황이 아닌지 생각하지 않을 수 없다"고 직격했다.
김종인 총괄선대위원장은 이날 선대위 회의에서 "공수처가 마치 공포처처럼 변질되고 있다"며 "처음 만든 취지와 다른 형태로 움직이기 때문에 무차별적으로 시행하고 있는 통신조회를 방지할 수 있는 제도를 만들어야 한다"고 촉구했다.
조경태 공동선대위원장은 "편향된 조직과 목적에 의해 이뤄진 공수처는 애시당초 태어나선 안 될 조직이었다"며 "문재인 정권의 충실한 개 역할 밖에 안 된다는 게 만천하에 드러난 것"이라고 쏘아 붙였다.
이날 열린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에서도 국민의힘 의원들의 질타가 쏟아졌다. 공수처의 통신기록 조회 대상으로 전해진 조수진 의원은 "독재정권 때도 없던 일"이라고 지적한 뒤 "공수처가 통신자료를 들여다본 언론인, 야당 정치인, 민간인만 해도 70명이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사찰 공화국이라는 생각을 지울 수 없다"고 몰아세웠다. 그러면서 "(민주당은) 긴급현안 질의에 합의하고 박범계 장관, (김진욱) 공수처장을 불러야한다"고 요구했다.
윤한홍 의원도 "민주당이 20대 국회에서 공수처법을 패스트트랙으로 할 때 독재정권의 게슈타포가 될 것이라고 했는데 그렇게 가고 있다"며 "단순 통신 사찰이 아니다. 대선에 개입하고 있는 것"이라고 맹비난했다.
이에 여당 간사인 민주당 박주민 의원은 "사찰이라고 불릴만한 것인지에 대해서는 면밀한 판단과 고민이 있어야 한다"며 "수사 과정에서 필요에 의해서 이뤄진 것은 아닌지, 점검이 필요하다"고 감싸고 나섰다.
민주당 소속 박광온 법사위원장도 "영장이 필요하다는 부분이 없다"며 "이 법조문만 놓고 보면 사찰, 위법행위로 단정해 공수처장에게 책임을 묻는 것이 타당한가 고민을 해야 한다"고 보조를 맞췄다.
한편, 법사위 소속 국민의힘 의원들은 이날 오후 사찰 논란과 관련해 공수처를 항의 방문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