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경북도 일자리 창출 사업 성과 '눈에 띄네'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고용노동부 주관 일자리 창출 지원사업서 역대급 성과
행안부 지역주도 청년일자리 사업 4년 연속 전국 최다 국비 확보

경북도청 전경. 매일신문 DB
경북도청 전경. 매일신문 DB

경상북도가 지역 일자리 창출을 위해 정부 공모 사업에 적극 대응한 결과 목표 이상의 성과 도출이 잇따르고 있다.

10일 경북도에 따르면 먼저 고용노동부 주관 지역산업 맞춤형 일자리 창출 지원 사업 중 3개 공모사업에서 두드러진 성과를 냈다.

지방이 주도하는 중장기 일자리 사업인 '고용안정 선제대응 패키지 지원사업'의 지난해 평가에서 전국 광역시도 중 1위를 차지했다. 국비 84억원 등 105억원의 사업비를 투입해 목표 1천380개보다 많은 1천457개 일자리를 창출했다.

광역자치단체가 주도하는 일자리 사업인 '지역혁신프로젝트'에 대한 고용노동부 평가에서도 전국 광역시도 중 1위에 자리했다. 지난해 국비 12억원 등 19억원의 사업비를 들여 목표 327개의 176%에 해당하는 574개의 고용을 창출했다.

코로나19로 취업에 어려움을 겪는 경력단절 여성 및 고졸 청년 지원을 위한 '여성·청년 특화 지원 사업'에서는 전국 지자체 중 가장 많은 6개 사업, 40억원(국비 33억원)을 확보했다.

지난해 이 사업을 통해 717개 일자리를 창출했고 2개 사업은 고용노동부 평가에서 1위를 차지했다.

고용노동부에서는 중앙정부와 광역자치단체, 기초자치단체 간 원할한 협업으로 우수 성적을 거둬 모범이 된다고 평가하고 있다. 그 결과 지난해 '일자리창출 유공 정부포상'에서 대통령 표창도 수상했다.

올해도 경북도는 지난해의 분위기를 이어갈 각오다.

행정안전부 주관 지역주도형 청년일자리 사업 공모에서 4년 연속 전국에서 가장 많은 국비 330억원을 확보했다. 올해 총 예산 2천387억원 중 13.8%에 해당한다.

또한 올해를 코로나19로 침체한 지역경제와 일자리 회복의 원년으로 보고 동서남북 4개 권역별로 '경북형 생활경제권 중심으로 일자리 창출 전략'을 발표했다. 국비 438억원을 포함한 866억원을 활용해 일자리 지원 사업을 추진한다.

지난해 좋은 성과를 낸 지역혁신프로젝트, 고용안정 선제대응 패키지 지원사업과 생활경제권 중심 일자리 창출 전략을 연계해 150억원 규모의 정부 공모사업을 진행할 예정이다.

하대성 경북도 경제부지사는 "지난해 성과를 디딤돌 삼아 앞으로 지역 전략산업과 기업에서 좋은 일자리가 더 많이 창출되도록 노력하겠다"고 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