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해 모든 국민의 공통된 소망은 인류의 재앙인 코로나19 전염병으로부터 벗어나는 것일 게다. 국민들은 두려움에 떨면서 살아온 2년 동안의 생활이 지긋지긋하고 지쳐만 간다.
또 다른 올해의 중차대한 소망은 대한민국의 국운을 세계만방에 솟구치게 할 새로운 대통령을 맞이하는 일이다.
현재 대선 정국은 지엽 말단의 문제로 상대방을 헐뜯고, 비방하는 일이 난무해 국민들을 역겹게 한다. 국정 능력은 차치하고, 흠결투성이의 후보들 가운데 어느 후보가 진정으로 지도자다운 대통령이 될 수 있을 것인지를 두고 국민들은 혼란스럽다.
국제 정세나 국내 상황이 어느 때보다 혼돈과 갈등으로 불확실한 때에 대권 후보라면 새 체제 전환을 위한 비전과 철학, 그리고 정책과 방법론을 갖고 앞길을 열어주는 모습을 보여주어야 한다.
차기 대통령은 새 시대의 리더십은 제쳐 두고 먼저 문재인 정부에서의 실정은 반복하지 말아야 성공한 대통령이 될 수 있다. 새 대통령은 좌‧우파를 떠나 문 정부의 정책에서 반면교사를 삼을 수 있겠다.
문 정부는 부동산 정책을 28차례나 발표했지만 전부 실패하고 집값을 왕창 올려 1가구 1주택자에게 세금 폭탄을 안겼다. 정책 실패에 대한 사과를 그토록 싫어하는 문 정부에서 여당의 대권 후보가 유일하게 사과할 정도니 부동산 부문은 문 정부 최대의 실정 가운데 하나임에 틀림없다.
국민이 북한군에 총 맞아 죽고 기름불에 소각당해도 침묵하고, '중국은 큰 산이요 한국은 작은 산'이라서 기자들이 두들겨 맞아도 항의 한 번 못 하고, 북한 눈치 보기로 한미 군사훈련을 거부한 채 한미동맹에 균열을 가져오게 한 문 정부의 국방·안보·외교 정책도 일대 전환이 있어야 한다.
대통령 말 한마디로 원전을 멈추고, 나랏빚을 1천조 원으로 만들어 국부를 까먹고 곳간을 거덜 내는 문 정부의 실정도 정책 전환해야 한다. 대통령 친구를 시장에 당선시키려 부정선거를 자행하고 재판 거래, 옵티머스 사기, 라임펀드 사기 등 문 정부의 자의적인 법 집행과 불공정, 제 편 챙기기는 독재정권에서도 없었던 일이었다.
그러나 차기 대통령이 미래에 대한 설계와 투자 없이 지난 5년간의 적폐 청산에만 매몰되면 '또 다른 문재인 정부'로 치부될 것이다.
전 환경부 장관 윤여준 씨가 쓴 '대통령의 자격'은 이번 대선에서 어떤 지도자를 우리가 선택해야 할지에 대해 유용한 시각을 제공해 주고 있다. 국민 생활을 중심에 둔 '균형감과 합리성'을 지닌 대통령이 나와야 한다는 게 저자의 논지다.
글로벌 시대에는 특정 이념에 포획되기보다 다양한 이념적 배경을 갖는 여러 정책들을 국민 생활의 개선을 위해 배합할 수 있는 통합적 구심력이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복지 분야를 예로 들면 성장을 동시에 고려하면서 세제 개혁과 고용 창출에 대해 실행 가능하고 현실 적합한 정책을 제시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현 대선 후보들의 복지정책은 세부 실천 방안이 없는 공약(空約)에 가까워 보인다.
결론적으로 새 대통령은 무엇보다 과거를 담보로 하지 않고 미래의 약속을 실현시키는 시스템을 만들 수 있는 리더라야 한다고 강조했다.
선거 결과의 최종 책임은 유권자의 몫이다. "유권자의 수준이 한 나라의 정치 수준을 결정한다"는 토마스 만(독일의 노벨문학상 수상자)의 경구가 되새겨진다.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정동영 "'탈북민' 명칭변경 검토…어감 나빠 탈북민들도 싫어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