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 확산세로 일일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7천명을 넘어서면서 오미크론 대응체계에 돌입함에 따라 이달 안에 전국적으로 새 방역체계가 적용될 전망이다.
새로운 방역체계 하에서는 ▷고위험군에 유전자증폭(PCR) 검사역량을 집중 ▷병·의원급 의료기관에서 검사 및 진료 ▷먹는치료제를 적극적으로 활용해 중증화를 예방하는 조치가 이뤄진다.
22일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신규 확진자는 7천9명으로 작년 12월 22일(7천454명) 이후 한 달 만에 다시 7천명대로 올라섰다.
'신규 확진 7천명'은 정부가 기존 방역체계를 중환자·사망자 관리 중심의 오미크론 대응체계로 전환하는 기준으로 제시한 수치다.
오는 24일 발표될 1월 3주차(16∼22일) 오미크론 감염률은 50% 이상, 설 연휴(1.30∼2.2)가 지나면 전국적으로 80∼90%에 달할 것으로 당국은 전망하고 있다.
이와 동시에 내주에는 7천∼8천명대, 2월 초중순에는 2만명대의 신규 확진자가 나올 가능성까지 점쳐지고 있다. 일부 전문가들은 오미크론 대확산시 하루 10만명이 감염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이에 따라 정부는 오는 26일 광주·전남·평택·안성 4곳에 오미크론에 대응하는 새로운 검사·진료 체계를 적용한 후 오미크론 확산세를 지켜보며 전국 적용 시점을 결정할 예정이다.
시범 실시 중인 4곳 지역에서는 ▷확진자 밀접접촉자 ▷검사가 필요하다는 의사 소견서를 받은 사람 ▷신속항원검사 양성 확인자 ▷60대 이상 등 '고위험군'만 선별진료소에서 PCR 검사를 받을 수 있다.
그 밖의 유증상자 등 검사 희망자는 선별진료소나 호흡기전담클리닉으로 지정된 집 근처 병·의원에서 신속항원검사를 받은 후 양성이 나오면 PCR 검사를 추가로 받아야 한다.
'방역패스' 적용 시설에 입장할 때 필요한 음성확인증명서도 신속항원검사를 기반으로 발급된다.
정부는 일부 지역에 대한 선제 조치 외에, 백신접종을 완료한 확진자의 격리기간을 10일에서 7일로 단축하는 방안을 26일부터 전국적으로 시행하기로 했다.
또 먹는치료제 투약을 활성화하기 위해 투약 기준을 '65세 이상'에서 '60세 이상'으로 확대하고, 노인요양시설과 요양병원에서도 치료제를 쓸 수 있도록 했다.
정부는 광주 등 4곳에서의 선제 조치 후 상황을 지켜보면서 오미크론 방역체계 완전 전환 시점을 결정한다는 방침이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