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날 연휴기간 중 오랜만에 만난 가족과 친지들이 함께 고향집에서 텔레비전(TV)을 통해 여야 대통령 후보들의 정견을 확인할 수 있는 기회가 사라졌다.
윤석열 국민의힘 대통령 후보가 지상파 방송3사에서 제안한 여야 대선 후보 4명이 참석하는 방식의 TV 토론회를 거부했기 때문이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국민의힘 윤석열, 정의당 심상정, 국민의당 안철수 등 원내 4개 정당 대통령 후보가 모두 확정된 지 84일 지나도록 대선주자 간 TV 토론회 한 번 열리지 않아 '깜깜이 대통령 선거'라는 지적이 쏟아지는 상황에서 민족 최대 명절인 설날 연휴마저 그냥 넘길 경우 후폭풍이 만만치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성난 민심의 표적이 될 가능성이 가장 큰 정당은 국민의힘이다. 법원이 방영을 금지한 양자 대결 방식의 TV 토론회를 주도했고 법원 판결 이후 지방파 방송3사의 4자 토론 제안마저 거부하며 설날 연휴 중 TV 토론회를 무산시켰기 때문이다.
특히 국민의힘은 4자 토론 제안 거부 후 다시 법원이 제지한 양자 토론을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에게 제안해 비판 여론에 기름을 부었다.
이태규 국민의당 선거대책위원회 총괄선거대책본부장은 27일 국민의힘이 더불어민주당 측에 별도의 양자 토론을 제안한 것과 관련해 "문재인 정권에 맞섰다는 것 하나로 제1야당 후보가 된 분에게 어울리지 않는 당당하지 못한 모습"이라며 "법원의 결정에도 따르지 않겠다는 오만함의 극치"라고 꼬집었다.
심지어 배진교 정의당 원내대표는 "견강부회 윤석열 후보 빼고 31일에 3자 토론 진행하자"고 제안하기도 했다.
더불어민주당도 비판에서 자유로울 수 없을 전망이다. 얄팍한 욕심 때문에 양자 토론방식을 고수하다 4자 토론을 준비할 시간을 소진하는데 한 몫을 했고 설 연휴 중 텔레비전 토론 성사를 위한 적극적인 움직임도 없기 때문이다.
정의당 관계자는 "양자토론 맞춤형 과외를 받고 있던 윤 후보가 토론 구도가 바뀌자 토론 자체를 무산시키기 위해 몽니를 부리고 있다"며 "민주당도 사태 해결에 적극 나서고 않고 있는데 사실상 방송 무산을 방조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정치권에선 거대양당의 이 같은 꼼수가 설날 민심의 향배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
"차문 닫다 운전석 총기 격발 정황"... 해병대 사망 사고 원인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