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지난해 대구 유턴기업 3곳…“올해 최소 2곳 유치”

고려전선, 성림첨단산업 등 해외공장 대구로
‘대구형 패키지’로 올해 최소 2곳 추가유치

지난해 국내 복귀기업 지역별 분포. 대구시 제공
지난해 국내 복귀기업 지역별 분포. 대구시 제공

지난해 산업부 선정 국내복귀기업 26개사 중 3개사가 대구로 유턴해 경남, 충남 다음으로 많았다. 3곳 중 2곳은 대구시와 투자협약을 맺었다. 대구시는 올해 '대구형 패키지'를 앞세워 최소 2곳의 유턴기업을 추가 유치할 계획이다.

대구형 1호 유턴기업인 고려전선㈜은 미얀마에서 성서3차 STX중공업 부지로 유턴했다. 이달 중 공장을 착공해 2024년 완공할 계획이다. 총 사업비 518억원을 투입해 신재생에너지 등 고도화 전력케이블을 생산한다.

2호 유턴기업 성림첨단산업㈜은 전기차 모터 핵심소재인 희토류 영구자석을 제조하는 중기부 인증 첨단기술기업이다. 중국에서 대구테크노폴리스로 유턴, 지난해 11월 공장을 착공했다. 2024년까지 380억원을 투자해 국내 공급망 핵심품목 수급 안정화에 기여할 작정이다.

대구시는 최근 유턴을 협의 중인 기업과 상반기 내 성과를 내고, 전문 컨설팅업체와 유턴 의향기업 발굴사업을 추진해 올해 최소 2개 이상의 유턴기업을 유치할 예정이다.

특히 ▷국비 300억원 한도에서 총 투자액의 최대 50% 지원 ▷10~50년간 부지 무상임대 공급 ▷인력채용 관련 4년간 28억8천만원 장려금과 최대 10억원 직원 거주비 등 유턴투자 전주기 인센티브로 구성된 대구형 패키지를 통해 유턴을 독려한다.

예를 들어 소부장 핵심전략품목 기업이 200억원을 투자하면 추가 인센티브를 합해 투자비의 57%인 114억원을 현금으로 지원받을 수 있다.

대구시 관계자는 "국내복귀 결정 이후에는 대구TP 컨설팅을 통해 기업이 원하는 다양한 분야의 맞춤형 지원을 받을 수 있다"며 "상반기에는 해외사업장 구조조정 없이 유턴투자가 가능한 기업을 대상으로 설명회도 추진한다"고 말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