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이재명 "노동자 출신인 내가 가장 친기업적"

한국노총·의료직능단체와 정책협약
"노동자가 살아야 경제산다" 기업·노동자 공생 정책 약속
반기문 전 총장 만남도 추진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 후보와 김동명 한국노총 위원장이 10일 오전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한국노총에서 열린 노동 정책 협약식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 후보와 김동명 한국노총 위원장이 10일 오전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한국노총에서 열린 노동 정책 협약식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범보수 인사들과 연쇄 접촉하며 외연 확장에 나섰던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는 10일 한국노동조합총연맹(한국노총) 등과 손을 맞잡고, 정책 행보의 가속 페달을 다시 밟았다.

부인 김혜경 씨의 '과잉 의전' 논란이 김 씨의 사과로 어느 정도 해소됐다고 판단, '배우자 리스크'를 뒤로 한 채 세몰이에 박차를 가하는 모습이다.

이 후보는 이날 서울 한국노총빌딩에서 가진 한국노총과 노동 정책 협약식에서 "제가 노동자 출신이고 가장 친노동적인 정책을 취해서 당연히 반기업 아니겠냐고 생각한다"면서도 "그러나 가장 친기업적인 정치인은 이재명"이라며 기업과 노동자가 공생하는 친기업‧친노동 정책을 약속했다.

그는 자신이 '친기업적 정치인'이라고 거듭 강조했다. 이 후보는 "재작년 경기도지사 취임 후에 경제지가 기업 임원들을 상대로 가장 친기업적인 광역단체장이 누군지 조사했는데 제가 압도적 1등이었다"며 "기업인들은 이미 친기업적인 정치인이라는 것을 알고 있던 것"이라고 환기했다.

친기업과 친노동은 반대의 개념이 아니라고도 했다. 이 후보는 "양자택일이 아닌 제3의 선택지도 있다. 극단적인 논리를 반드시 이겨내야 한다"며 "친노동이 친경제다. 노동자가 살아야 기업이 살고 기업이 살아야 경제가 산다"고 강조했다.

특히 "제가 만들고 싶은 세상은 통합의 세상"이라며 "투쟁, 갈등, 증오의 세상이 아니라 각자가 역할을 충실히 해내고, 서로에게 도움이 되는 협력적 관계를 만들어내는 게 우리가 가야 할 통합의 세상"이라고 말했다. 노동자와 기업이 서로 잘사는 사회를 만들겠다는 다짐이다.

그는 소년공 출신임을 부각하며 공개 지지를 선언한 한국노총을 향해 "노동자로서 당당하게 자부심 갖고 사는 세상을 여러분과 함께 만들어가고 싶다"고 다시 한번 지지를 호소했다.

이 후보와 한국노총은 정책협약을 체결하고 ▷노동자 권리 보장 ▷헌법상 노동기본권 온전한 보장 ▷노동자 경영 참가 및 노동회의소 도입 등 12대 과제 이행을 위해 노력하기로 했다.

이 후보는 또 여의도 민주당사에서 5개 직능단체와 연쇄 간담회를 열고 정책협약을 맺었다. 대상은 대한약사회와 공중위생단체협의회 9개, 전문자격사협회 6개, 대한의료기사단체총연합회 8개, 식품위생단체연합 6개 단체 등이다. 이 후보는 각 직능단체의 어려움과 요구사항을 청취한 뒤 정책적 뒷받침을 약속했다.

이 후보 측은 뜬구름 잡기 식의 대형 공약보다 특정 이슈나 계층을 겨냥한 디테일한 정책을 제시해 표심에 구애하는 한편 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과 만나는 방안을 추진하는 등 중도 확장을 병행한다는 구상이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