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 공직사회에 '성별 업무분리' 경향이 여전히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민원인 대응 업무·비서 업무에 여성 편중이 심해 이를 개선해야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13일 매일신문 취재 결과 대구 8개 구·군에서 여권 신청, 가족관계등록 등 민원인 대응 업무 전반을 담당하는 부서 전체 인원 190명 중 136명(72%)이 여성이었다. 이를 구·군별로 살펴보면 달성군(39%)을 제외한 모든 구·군에서 여성 비율이 60%를 넘었다. 특히 수성구청과 서구청의 편중도가 각각 96%와 88%로 심각했다.
도농복합지역인 달성군은 남성 근무 비율이 높은 건축·개발 허가 관련 부서가 종합민원과에 속해 있다는 점에서 타 지자체와 차이가 있었을 뿐 여권 신청, 가족관계등록 등의 민원인 대응 업무는 대부분 여성이 맡고 있다.
지난달 25일 여성가족부는 '지자체 양성평등 조직문화 진단 결과'를 발표하며 기초지자체의 성별 업무분리 관행을 지적했다. 특정 부서에 따라 남녀 편중 비율이 높다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기획·예산·예산·인사·감사 등 주요부서와 건설·토목 부서 등에서 남성 비율이 높고, 여성·복지 부서일수록 여성 비율이 높았다. 광역지자체와 기초 지자체 여성 비율이 각각 40.7%, 45.5%인 점과 비교할 때 성별 불균형은 성별 업무분리의 결과로 해석될 수 있다.
같은 직무 내에서도 업무에 따라 남녀가 구분되는 경우도 있었다. 진단 결과에 따르면 광역지자체와 기초 지자체에서 일정관리·서무 업무를 맡는 비서는 87.4%, 75%가 여성이었다. 반면 비서직 내에서도 정무·수행비서는 남성이 88.8%, 92.9%를 차지했다.
여성이 맡는 비서직은 주로 전화·손님 응대가 주된 업무라면 남성의 업무는 운전을 포함해 정책 조언과 공식 일정 동행이다. 대외적인 일은 남성이 맡는 성별 업무분리가 작동한 것이다.
이에 대해 한 기초지자체 인사 업무 담당자는 "건축·토목 직렬은 자격 요건을 갖춘 남성 입사자가 많고, 복지 직렬은 처음부터 여성 입사자가 많다"며 성별 업무분리가 불가피하다고 했다.
남은주 대구여성회상임대표는 "핵심은 조직의 결정권한을 지닌 50대 남성 고위직들이 이에 대한 불편·부당을 전혀 느끼지 못하는 것"이라며 "이들의 성평등 인식 제고를 위한 교육이 필요하고 또 이것이 인사 고과에 반영되는 적극적 조치가 없다면 이 구조는 변할 수 없을 것"이라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