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권 단일화 논의가 이번 대선 막판 최대 변수로 부각하자 여권이 이른바 '이슈 파이팅'에 밀리지 않기 위해 통합정부론으로 맞불을 놓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선대위에서 공동상황실장을 맡고 있는 조응천 의원은 16일 KBS 라디오에 나와 이재명 대선 후보의 유승민 전 의원 내각 임명 의지와 관련해 "후보의 통합 의지는 아주 단호하고 분명하다. 다만 구체적 인물에 대해서 특정을 하고 거론하는 건 없다"고 전했다.
또 이 후보가 최근 강조하고 있는 통합정부론과 관련해 "장기적으로 경제 대통령이 되어야 하고, 지금 (이 후보가) 말씀을 계속 하고 있는 국민 통합 대통령도 되어야 한다"면서 "그런데 점점 더 방점이 국민 통합 대통령 이쪽으로 메시지가 이전을 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앞서 '유능한 경제 대통령'을 슬로건으로 내세운 이 후보가 최근 야권 단일화 이슈 부상에 대응하기 위해 '국민 통합 대통령'에 무게중심을 전환하고 있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민주당은 또 야권 단일화 논의를 정치 구태로 규정 지으며 평가절하에도 주력하고 있다.
박광온 공보단장은 이날 BBS 라디오에서 "단일화라는 표현은 누군가에게 후보를 양보하라는 압박일 수가 있다. 그래서 이재명 후보는 일관되게 선거운동 과정과 무관하게 통합의 정부, 통합의 정치를 하자고 얘기 한 것"이라며 "어느 후보와 어느 후보가 단일화를 해서 세력을 보강한다 하는 것은 국민들이 봤을 때는 이익을 공유하는 그런 어떤 일시적인 단일화일 뿐이지, 지속 가능한 방식은 아니다"고 비판했다.
하지만 이 같은 재뿌리기식 대응의 실효성을 두고 당 안팎에서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야권 단일화 논의가 블랙홀처럼 대선 이슈를 빨아들이고 있는 데 비해 통합정부론으로는 여론의 주목을 받지 못한다는 것이다.
또 17일로 예정된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와 유승민 전 의원 간 회동 이후 '보수 원팀'이 완성될 경우 통합정부론도 진보진영과 제3지대에 국한된 반 쪽 자리가 될 가능성이 크다는 지적이 나온다.
정치권 관계자는 "사실 야권 단일화 과정에서 나오는 잡음 자체도 이슈다. 여론이 단일화 여부에 시선을 집중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며 "민주당이 불리할 수밖에 없는 구도에서 통합정부론만으로는 이슈 전환이 어려울 것 같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