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전기차 판매량이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 지방자치단체의 올해 전기차 보조금 규모가 최근에서야 확정된 탓이다.
올해는 한대당 지급되는 보조금 규모는 줄었지만, 전기차 모델 출시는 크게 늘어 보조금 수급 경쟁은 더욱 치열해질 전망이다.
카이즈유데이터연구소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5천950대에 달했던 국내 전기 승용차 판매량은 지난달에는 4분의 1 수준인 1천450대로 크게 줄었다.
보조금이 확정되지 않은 1월에 전기차를 구매하면 보조금 혜택을 전혀 받을 수 없어 전기차 구매 부담이 커지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달 말 전국 지자체의 보조금이 모두 확정되면 소비자들의 '눈치게임'이 끝나고 전기차 판매량은 크게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20일 환경부 등이 행정 예고한 '2022년 전기자동차 보조금 업무처리지침 개편안'에 따르면, 전기 승용차 한 대당 지급되는 국비 보조금 최대 금액은 지난해 800만원에서 올해 700만원으로 낮아졌다.
이에 지자체들도 국비에 따라 하향 조정된 보조금 규모를 이달 중순부터 속속 발표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지역별로 전기차 보조금이 많게는 650만원까지 차이가 날 것으로 보여 혼란이 예상된다.
국비와 지자체 지원금을 합친 주요 광역시별 전기 승용차 보조금은 대전 1천200만원, 대구·광주 1천100만원, 인천 1천60만원, 부산·울산 1천50만원 순이었다. 서울·세종은 900만원이었다.
기초 지자체로 내려가면 보조금 편차는 더욱 커진다. 기초 지자체는 국비와 도비, 시·군비를 합친 금액이 전기차 보조금으로 지급된다.
현재까지 보조금을 발표한 지자체 중에선 전남 나주시와 장흥·강진·장성군이 1대당 최대 1천550만원을 지급해 가장 많은 금액을 지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과 비교하면 650만원이나 차이 나는 것으로, 자동차 관련 인터넷카페에는 '보조금 때문에라도 이사를 해야 하는 것 아니냐'는 우스갯소리도 올라오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국내를 포함해 해외에서도 전기차 수요는 보조금 규모에 크게 좌우된다"며 "전기차 인기가 높아지면서 보조금이 고갈되기 전에 구매하려는 수요가 많아질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