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프로야구 메이저리그(MLB)가 드래프트를 통해 해외 출신 선수들을 선발하는 '국제 드래프트' 방식을 도입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MLB닷컴은 6일 "MLB 사무국이 노사 협상 과정에서 여러 쟁점이 난무하는 현 시스템을 대체할 수단으로 국제 드래프트의 도입을 제안했다"고 전했다.
현재 미국과 캐나다, 푸에르토리코 지역의 선수들은 신인 드래프트를 통해 MLB 구단에 입단하지만, 그 외 지역의 선수들은 각 구단과 자유롭게 계약을 한다.
이에 대해 MLB닷컴은 각 구단이 12∼14세의 어린 선수들과 구두로 입단을 합의한 뒤 16세에 정식으로 계약하는 현재의 시스템에선 일부 선수들이 강한 심적 부담감에 금지 약물을 손대거나 불리한 조건으로 계약하는 일이 종종 발생한다고 지적했다.
MLB 사무국은 국제 드래프트 도입이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최선의 방법이라고 보고 있다.
선수나 구단 모두 특정 선수가 언제 어떤 구단에 의해 선발될지 모르는 현 시스템에서는 신속하고 정당한 계약이 사실상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MLB 사무국이 제안한 국제 드래프트는 성적 역순으로 진행하는 신인 드래프트와 달리 각 구단의 성적과 상관없이 진행할 계획이다.
MLB 30개 구단이 5개로 분류된 그룹에 6개 구단씩 무작위로 배정된 뒤 각 그룹이 5년을 주기로 순위를 번갈아 가며 드래프트에 참여하는 방식이다.
총 20라운드를 진행해 600명의 선수를 선발하고, 각 구단은 다른 구단에 선수 선발권을 넘길 수 없도록 했다. 또 지명 순번에 따라 계약금을 보장하도록 했다.
한편, MLB 구단 측과 선수노조가 단체협약(CBA) 개정에 관한 협상을 재개한다.
AP, ESPN 등 현지 매체들은 "양 측은 7일 미국 뉴욕에서 만나 대화를 이어가기로 했다"고 전했다.
선수노조는 새 협상 자리에서 이미 양 측이 합의한 '포스트시즌(PS) 진출 팀'에 관한 안건을 다시 꺼내기로 했다.
양 측은 지난 '주피터 협상'에서 PS 진출 팀 수에 관한 안건을 유일하게 합의했는데, 선수 노조는 이를 양보하고 다른 안건에서 실리를 취하겠다는 입장이다.
MLB는 지난 시즌까지 총 10개 구단이 PS에 진출했다.
구단들은 리그의 흥행과 수익을 위해 이를 14개 구단으로 늘려야 한다고 주장했다.
반면 선수 노조는 너무 많은 구단이 PS에 진출하면 구단들은 선수 영입에 투자를 줄일 것이라며 PS 진출 팀을 적게 유지하는 방안을 고집했다.
구단 측은 지난 1일 미국 플로리다 주피터에서 진행된 마라톤협상에서 선수 노조의 제안을 받아들였고, 새 시즌부터는 기존 10개 팀에서 단 2개 팀이 늘어난 12개 구단이 PS 경기를 치르기로 했다.
양 측은 이 안건을 제외한 모든 분야에서 합의점을 찾지 못했다.
구단 측은 협상 결렬을 선언하며 정규시즌 개막 연기와 경기 수 축소를 선언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