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러시아 부도 위기?…JP모건 "러, 16일 디폴트 가능성 높아"

"미 제재로 러시아가 해외서 채권 지불하는데 큰 장애물" 분석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28일(현지시간) 한 행인이 유로와 달러화에 대한 루블화 환율을 표시하는 전광판 앞을 걸어가고 있다.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러시아에 대한 서방의 금융 제재가 발표되고 러시아가 핵 위협 카드를 꺼내면서 이날 러시아 화폐 가치가 30% 가까이 폭락했다. 연합뉴스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28일(현지시간) 한 행인이 유로와 달러화에 대한 루블화 환율을 표시하는 전광판 앞을 걸어가고 있다.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러시아에 대한 서방의 금융 제재가 발표되고 러시아가 핵 위협 카드를 꺼내면서 이날 러시아 화폐 가치가 30% 가까이 폭락했다. 연합뉴스

미국 투자은행 JP모건이 오는 16일 러시아가 달러 채권을 상환하지 못해 디폴트(채무불이행)를 맞을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이 예측이 적중한다면 러시아는 1998년 디폴트 이후 또다시 채무불이행 상황을 맞는다.

7일 파이낸셜타임스(FT)·블룸버그통신 등에 따르면, JP모건이 보고서를 통해 이달 16일 7억 달러(약 8542억 원) 상당의 채권 만기를 맞는 러시아가 서방 국가의 제재로 인한 일부 자산 동결 등으로 부채 상환이 어려울 것이라고 내다봤다.

러시아가 부채를 상환할 현금이 부족한 것은 아니다. 현재 러시아 중앙은행은 6,430억 달러(약 788조 원)의 외환을 보유중이다. 하지만 JP모건은 러시아 정부 기관에 대한 미국의 제재와 러시아의 맞대응, 지불 수단 중단 등 러시아가 해외에서 채권을 지불하는데 큰 장애물이 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채무불이행 우려가 커지자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정부와 기업들이 루블화로 해외 채권단에게 채무를 상환하는 것을 허용하기로 했다.

물론 이 법령이 상환 여부를 인정받을지 여부는 알 수 없다. JP모건은 푸틴 대통령이 서명한 법령에 따라 러시아가 루블화 지급을 결정하는 즉시 디폴트로 이어질 수 있고 신용부도스와프(CDS) 변제를 촉발할 것이라고 보기 때문이다. 달러 채권의 이자 1억 1,700만 달러(약 1435억 원)에 대해서도 상환 조건에는 루블화 지급 옵션이 없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달러화 채권은 30일 동안의 자동 유예기간을 적용받는 만큼 러시아가 다음 달 15일까지 유예를 받아 상환할 경우 디폴트를 면할 가능성도 있다.

여기에 러시아가 해외 대출 기관에 손실을 입히기 위해 서방의 제재에 대한 보복 수단으로 디폴트를 악용할 수 있다는 우려도 커지고 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