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제20대 대통령 선거 이틀 만에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후보의 당선 소식을 전했다.
대외용인 조선중앙통신은 11일 "남조선에서 3월 9일 진행된 제20대 대통령 선거에서 보수야당인 국민의힘의 후보 윤석열이 근소한 차이로 대통령으로 당선됐다"고 전했다. 대선 결과에 대한 별다른 논평은 없이 한 문장짜리 짤막한 단신으로 보도됐다.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도 이날 6면에 "남조선에서 3월9일 진행된 대통령 선거에서 보수야당인 '국민의 힘' 윤석열 후보가 근소한 차이로 대통령에 당선됐다"라고 보도했다.
북한이 제20대 대선 결과를 보도한 것은 이틀만이지만, 당선인 윤곽이 드러난 10일 새벽을 기준으로 하면 사실상 하루 만에 즉각 보도한 것이라고도 볼 수 있다. 대북 문제에 강경한 보수정당 후보가 당선됐을 경우 보도 시점을 늦춰왔던 것을 고려하면 상당히 이례적이다.
앞서 북한은 박근혜 전 대통령이 당선됐던 2012년 제18대 대선에서는 박 전 대통령의 이름조차 거론하지 않은 채로 대선 소식을 전했다.
당시 중앙통신은 선거 이튿날인 12월 20일 밤 대선 결과를 처음 보도하면서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의 이름과 득표율 등을 생략한 채 "새누리당 후보가 근소한 차이로 당선되였다고 한다"고 한 문장짜리 기사를 송고했다.
지난 2007년 12월 19일 제17대 이명박 전 대통령의 대선 당시에는 일주일간 대선 결과를 보도하지 않았다.
반면 상대적으로 대북 문제에 우호적인 진보정당이 집권했을 경우 대선 소식을 전하는 시점도 빨랐고 보도량도 늘었다.
5년 전 문재인 대통령의 당선(2017년 5월 9일) 때는 바로 다음날 북한 입장을 대변하는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 기관지 조선신보가 "정권교체를 이루어낸 민중의 힘"이라고 첫 소식을 전했다.
지난 2002년 12월 19일 제16대 노무현 전 대통령 당선 때도 북한 매체들은 대선 이틀 뒤인 12월 21일 일제히 보도했다.
당시 매체들은 "선거에서는 민주당 후보 노무현이 당선되고 한나라당 후보 이회창이 패했다"며 "6·15공동선언을 반대하고 반공화국 대결을 고취하는 세력은 참패를 면치 못한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고 평했다.
지난 1997년 12월 18일 제15대 대선 때는 사흘 만인 12월 21일 김대중 전 대통령 승리 사실을 밝히지 않고 선거 결과를 전했다. 당시 중앙방송과 평양방송은 "남조선에서 대통령 선거가 진행돼 정권교체가 이뤄지게 됐다"며 외신을 인용해 당선인 앞에 난제가 산적했다고 소개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