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기가 두 달도 안 남은 문재인 정부가 공공기관에 '알 박기 인사'를 강행해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 측과 청와대 간에 갈등이 고조되고 있다. 청와대 관계자는 "5월 9일까지는 문 정부 임기이고 임기 내 주어진 인사권을 행사하는 것은 당연하다"고 밝혔다. 윤 당선인의 대통령직인수위원회가 문 정부에 공공기관 낙하산 인사를 자제해 달라는 요청을 하기로 했다는 데 대해 청와대가 반발하고 나선 것이다.
문 대통령은 취임 초 공공기관 낙하산 인사 악습을 끊겠다고 약속했지만 5년 내내 캠코더(캠프·코드·더불어민주당) 인사들을 공공기관 요직에 대거 임명했다. 정권 교체를 앞둔 최근에도 친(親)정부 인사들을 위한 공공기관 알 박기 인사가 노골적으로 이뤄지고 있다. 전·현직 민주당 소속 인사나 친여 성향으로 분류되는 인사들이 공공기관 고위직을 꿰차고 있다. 민주당 출신들이 상임감사·상임이사 자리를 차지한 한국가스안전공사, 한국남부발전, 강원랜드가 대표적이다. 탈원전 인사인 전 청와대 시민사회수석은 원자력안전재단 이사장에 임명됐다. 윤석열 정부의 탈원전 정책 폐기에 걸림돌이 될 우려가 나온다.
억대 연봉을 받는 공공기관 기관장이나 임원은 권력에 기댄 인사들이 탐을 내는 자리다. 임기 내내 캠코더 인사들에게 공공기관 자리를 나눠준 것도 모자라 임기 종료를 앞둔 시점까지 알 박기·낙하산 인사를 하는 것은 후안무치한 일이다. 정권 말기에는 공공기관 빈자리에 인사를 하지 않는 것이 다음 정권에 대한 예의인데 문 정권엔 이마저도 없다.
임기 말 내려보낸 공공기관 기관장·임원 상당수는 윤석열 정부 출범 후에도 임기가 상당 기간 남아 있다. 새 정부와 엇박자를 내며 정책에 제동을 걸 수 있다. 공공기관 기관장이나 임원은 정권의 철학을 공유하는 사람이어야 하는 만큼 문 정권의 알 박기·낙하산 인사는 매우 잘못됐다. 문 정권은 임기 말까지 한 자리라도 더 내 사람 몫으로 챙기겠다는 발상부터 하지 말아야 한다. 차기 정부와 순탄하게 인수인계하는 것이 물러가는 정권의 도리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