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은 18일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과 빠른 시일 내 격의 없이 허심탄회하게 대화하는 자리를 갖는 게 국민에 대한 도리"라고 밝혔다. 문 대통령과 윤 당선인 간 회동은 애초 대선 7일 만인 16일로 예정됐으나 만남을 4시간 앞두고 전격 무산됐다. 문 대통령이 신속한 회동을 언급함에 따라 양측 회동 조율도 급물살을 탈 전망이다.
문 대통령은 이날 "무슨 조율이 꼭 필요하다고 생각하지 않으며, 청와대의 문은 늘 열려 있다"며 이 같이 말했다고 박경미 청와대 대변인이 춘추관 브리핑을 통해 전했다.
문 대통령이 윤 당선인 측에 어떤 주제든 논의할 수도 있음을 비침으로써 의제에 얽매이지 말고 일단 이른 시일 안에 만나자는 신호를 보낸 것으로 보인다. 이에 양측이 서둘러 회동 날짜를 못 박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양측은 앞선 회동 결렬 이유를 함구했지만, 조율 과정에서 이명박 전 대통령 사면과 한국은행 총재, 감사위원 등의 인사 문제 등을 두고 견해차를 좁히지 못한 탓이 아니냐는 해석이 나왔다.
이와 관련해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실무협의에 상관없이 만나자는 것인가. 아니면 실무협의를 빨리 해 달라는 취지인가'라는 물음에 "양쪽 다 해당할 것 같다"며 "이철희 정무수석과 장제원 당선인 비서실장이 긴밀히 협의하는 걸로 안다"고 답했다.
문 대통령은 또 "당선인 측의 공약이나 국정운영 방안에 대해 개별적 의사 표현을 하지 마라"고 지시했다.
최근 윤 당선인의 대통령 집무실 이전 방침에 대해 박수현 국민소통수석, 탁현민 의전비서관 등 참모진이 강하게 반박하는 등 청와대 참모진들과 당선인 측 간에 신경전이 벌어졌다. 특히 탁 비서관은 전날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여기(청와대) 안 쓸 거면 우리가 그냥 쓰면 안 되나 묻고 싶다"는 조롱성 내용의 글을 올려 당선인 측의 항의를 받은 데 대한 질책으로 보인다.
탁 비서관 SNS에는 18일 기준으로 관련 글은 삭제됐고, 대통령 집무실과 비서동 사이의 이동 시간을 지적한 글만 있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 역시 '탁 비서관 논란을 염두에 둔 것이냐'는 질문에 "그런 것으로 생각된다"고 했다.
한편, 유영민 대통령비서실장도 대통령 지시가 있기 전인 17일 청와대 직원들에게 당선인 측 공약이나 정책, 국정운영 방향에 대해 SNS 혹은 언론을 통해 개인적 의견을 언급하지 말 것을 당부했다. 윤 당선인과의 회동에 앞서 불필요한 정치적 논란을 일으키지 말라는 뜻으로 해석된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