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가 21일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의 대통령 집무실 이전 계획에 제동을 걸고 나섰다. 국방부, 합동참모본부의 갑작스런 이전으로 안보 공백을 초래할 수 있다는 것이다. 윤 당선인이 역점 추진하는 사안에 청와대가 공개 반대하면서 앞선 회동 무산에 이어 다시 한번 신구 권력이 충돌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박수현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은 이날 오후 브리핑에서 "오늘 개최됐던 국가안전보장회의(NSC) 확대관계장관회의 결과를 말씀드린다"며 "새 정부 출범까지 얼마 남지 않은 촉박한 시일 안에 국방부, 합참, 대통령 집무실과 비서실 등 보좌기구, 경호처 등을 이전한다는 계획은 무리한 면이 있어 보인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어 박 수석은 "한반도 안보 위기가 고조되고 있어 어느 때보다 안보 역량 결집이 필요한 때"라면서 "준비되지 않은 국방부와 합참의 갑작스러운 이전과 청와대 위기관리센터의 이전이 안보 공백과 혼란을 초래할 수 있다는 우려를 충분히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박 수석은 또 "청와대를 중심으로 설정돼 있는 비행금지구역 등 대공방어체계를 조정해야 하는 문제도 검토돼야 한다"며 "시간에 쫓겨야 할 급박한 사정이 있지 않다면 국방부, 합참, 청와대 모두 다 준비된 가운데 이전을 추진하는 것이 순리"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정부는 당선인 측과 인수위에 이런 우려를 전하고 필요한 협의를 충분히 거쳐 최종 입장을 결정할 것"이라고 했다.
아울러 박 수석은 "임기가 끝나는 마지막 날 밤 12시까지 국가안보와 군 통수는 현 정부와 현 대통령의 내려놓을 수 없는 책무"라며 "국방부, 합참, 관련 기관 등은 마지막 순간까지 흔들림 없이 임무에 임해달라"고 당부했다.
이와 함께 청와대는 윤 당선인이 22일 열리는 국무회의에서 대통령 집무실 이전에 필요한 예비비 496억원을 편성해줄 것을 요구한 데 대해서도 "예비비 국무회의 상정은 어려울 것"이라고 선을 그었다.
청와대 관계자는 "통상 정부 교체기에 안보가 가장 취약했다"며 "내달 중에 북한의 연례적 행사(태양절)가 예정돼 있고, 올해 들어서만 열 번째 미사일 발사를 하는 등 북한의 미사일 발사 흐름이 지속하는 상황이다. 그리고 한미 간 연례적인 훈련 행사가 있는 시기인 만큼 이 시기가 한반도 안보에 있어 위기가 고조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예비비와 관련해 "협의가 잘 되면 언제든지 임시 국무회의 열어 처리할 수 있다"고 여지를 남겼다.
청와대가 공개 반대 입장을 표명하자 정치권에서는 정국이 급랭하고 문 대통령과 윤 당선인의 회동에도 악영향을 미치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이에 대해 청와대 관계자는 "그 문제는 전체적으로 우리 정부의 모범적 인수인계와는 별개의 것"이라면서 "안보문제는 저희가 모범적 인수인계를 다 잘하는 가운데 분명하게 조금 더 세밀하게 검토해야 할 문제로, 정치적 문제와 별개라 생각하고 있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