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옷값 논란 일파만파…"'김멜다'라 불리는 김정숙, 옷값 공개해야"

정미경 최고의원 "옷값 공개하고 임기 종료 후 반환해야"

김정숙 여사가 12일 오전(현지시각) 영국 콘월 미낙극장(Minack Theatre)에서 열린 G7 정상회의 배우자 프로그램을 마친 후 미국 대통령 부인 질 바이든 여사와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김정숙 여사가 12일 오전(현지시각) 영국 콘월 미낙극장(Minack Theatre)에서 열린 G7 정상회의 배우자 프로그램을 마친 후 미국 대통령 부인 질 바이든 여사와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온라인에서 처음 제기됐던 영부인 김정숙 여사의 '옷값 논란'이 정치권으로 옮겨붙는 모양새다. 급기야 김 여사를 사치와 방종으로 악명 높았던 마르코스 전 필리핀 대통령의 배우자 이멜다 여사에 빗대는 발언까지 나왔다.

정미경 국민의힘 최고위원은 28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옷값이 국가기밀이라면 임기 종료 후에 장신구·옷·핸드백을 반환해야 하는 것 아니냐"며 "모든 정보를 투명하게 공개하겠다고 국민에게 약속했으니 (김정숙 여사의 의전 비용도) 투명하게 공개했으면 한다"고 압박했다.

'모든 정보를 투명하게 공개하겠다고 국민에게 약속하지 않았느냐'는 발언은 지난 2015년 문재인 대통령의 새정치민주연합 대표 시절에 한 말을 겨냥한 것이다. 당시 문 대통령은 "지금까지 막대한 특수활동비가 마구 지출돼오지 않았느냐"며 "예산의 낭비를 막기 위해서 제대로 감독돼야 한다"고 주장한 바 있다.

논란 확산에는 청와대도 불을 지폈다. 앞서 법원이 김 여사의 의전 비용을 공개하라는 판결을 내렸지만 청와대는 이에 불복해 항소한 탓이다. 청와대가 의전 비용을 밝히지 않으려는 듯한 모습을 보이면서 김정숙 여사 '옷값 논란'이 일파만파로 확산되기에 이른 것이다.

김 여사를 사치 행각으로 악명 높았던 마르코스 전 필리핀 대통령 배우자 이멜다 여사에 빗대는 발언도 나왔다. 이학재 국민의힘 전 의원은 이날 "지금 사이버수사대가 찾아서 나오는 옷만 수백 벌이고 브로치와 구두도 다 명품인데 액수가 추정이 안된다"며 "일부에서는 김 여사를 '김멜다'라고 부른다"고 전했다.

이학재 전 의원은 "청와대와 김정숙 여사가 '과하다, 억울하다'고 생각한다면 옷값을 투명하게 공개하면 된다"며 "그걸 안하고 자꾸 숨기면 '김멜다'라는 낙인이 계속 찍힐 것"이라고 경고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