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에서 처음 제기됐던 영부인 김정숙 여사의 '옷값 논란'이 정치권으로 옮겨붙는 모양새다. 급기야 김 여사를 사치와 방종으로 악명 높았던 마르코스 전 필리핀 대통령의 배우자 이멜다 여사에 빗대는 발언까지 나왔다.
정미경 국민의힘 최고위원은 28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옷값이 국가기밀이라면 임기 종료 후에 장신구·옷·핸드백을 반환해야 하는 것 아니냐"며 "모든 정보를 투명하게 공개하겠다고 국민에게 약속했으니 (김정숙 여사의 의전 비용도) 투명하게 공개했으면 한다"고 압박했다.
'모든 정보를 투명하게 공개하겠다고 국민에게 약속하지 않았느냐'는 발언은 지난 2015년 문재인 대통령의 새정치민주연합 대표 시절에 한 말을 겨냥한 것이다. 당시 문 대통령은 "지금까지 막대한 특수활동비가 마구 지출돼오지 않았느냐"며 "예산의 낭비를 막기 위해서 제대로 감독돼야 한다"고 주장한 바 있다.
논란 확산에는 청와대도 불을 지폈다. 앞서 법원이 김 여사의 의전 비용을 공개하라는 판결을 내렸지만 청와대는 이에 불복해 항소한 탓이다. 청와대가 의전 비용을 밝히지 않으려는 듯한 모습을 보이면서 김정숙 여사 '옷값 논란'이 일파만파로 확산되기에 이른 것이다.
김 여사를 사치 행각으로 악명 높았던 마르코스 전 필리핀 대통령 배우자 이멜다 여사에 빗대는 발언도 나왔다. 이학재 국민의힘 전 의원은 이날 "지금 사이버수사대가 찾아서 나오는 옷만 수백 벌이고 브로치와 구두도 다 명품인데 액수가 추정이 안된다"며 "일부에서는 김 여사를 '김멜다'라고 부른다"고 전했다.
이학재 전 의원은 "청와대와 김정숙 여사가 '과하다, 억울하다'고 생각한다면 옷값을 투명하게 공개하면 된다"며 "그걸 안하고 자꾸 숨기면 '김멜다'라는 낙인이 계속 찍힐 것"이라고 경고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