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10명 중 3명 이상은 첫 일자리를 비정규직으로 시작하며, 첫 직장 평균 월수입은 213만원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3일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18세~34세 청년 2천41명을 대상으로 설문한 결과 졸업 후 첫 일자리를 가진 임금근로자 청년 중 정규직은 66.6%, 비정규직은 33.4%였다.
'졸업 후 첫 일자리'는 최종 학교 졸업 후 처음으로 수입을 목적으로 1시간 이상 일을 했거나 가족사업체에서 무급으로 18시간 이상 일을 했던 경우, 졸업 전 시작한 일이 졸업 후에도 이어진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응답자의 94.5%가 임금근로자, 5.5%가 비임금근로자로 대부분의 청년이 취업을 통해 첫 일자리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 청년이 자영업이나 무급가족종사자로 첫 일자리를 시작하기보다는 취업을 통해 첫 일자리 갖는 것이다.
첫 일자리가 임금근로자인 경우 고용형태를 보면, 정규직 66.6%, 비정규직 33.4%였다.
종사자 규모를 보면 63.9%의 청년들이 30인 미만 중소규모 사업체에서 첫 일자리를 시작했다. 1∼4인 규모의 직장에서 첫 일자리를 시작한 비율도 26.3%로 높은 편이다. 첫 일자리의 종사자 규모가 500인 이상인 경우는 7.7%였다.
졸업 후 첫 일자리의 평균 주당 근로시간은 41시간, 월 소득은 평균 213만원으로 조사됐다. 주당 근로시간은 남성(42시간)이 여성(40시간)보다 2시간가량 많았다. 월 소득도 남성(231만원)이 여성(194만원)보다 37만 원가량 많았다.
학력에 따른 급여 차이도 뚜렷했다. 고졸 이하의 청년은 평균 44시간 근무에 203만원의 급여를 받았다. 대졸 이상의 청년은 42시간 근무에 236만원의 급여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고졸 이하 청년이 대졸보다 더 긴 시간 일하고 더 적은 급여를 받는 셈이다.
연구진은 "통계청 조사에 따르면 학교 졸업 후 첫 취업까지 평균적으로 11개월이 걸리는데, 이는 개인적으로 불안정하고 고통스러운 시기이자 국가적으로도 인적 자원의 낭비가 발생하는 것"이라며 "학교를 졸업하기 전에 취업이 결정되는 예방적 접근이 이뤄질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