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美 도로교통안전국, LG에너지솔루션 배터리 리콜 관련 조사 나서

LG에너지솔루션 내부 전경. LG에너지솔루션 제공
LG에너지솔루션 내부 전경. LG에너지솔루션 제공

LG에너지솔루션이 미국 완성차량에 납품한 배터리에 대해 미국 도로교통안전국(NHTSA)이 대대적으로 조사에 나선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해 제너럴모터스(GM)가 LG배터리 제조 결함으로 쉐보레 볼트 전기차 14만대를 리콜하면서 LG에너지솔루션이 리콜 분담금 1조4천억원을 분담하기로 결정난 가운데 이번 조사가 새로운 대량 리콜 사태를 불러올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AP·로이터 통신은 5일(현지시간) NHTSA이 LG에너지솔루션 배터리를 장착한 차량 13만8천324대를 대상으로 조사를 시작했다고 보도했다

이번 조사는 제너럴모터스(GM), 메르세데스-벤츠, 현대차, 스탤란티스, 폭스바겐 등 5개 자동차 회사가 2020년부터 LG 배터리 결함 등에 따른 화재 위험을 사유로 연쇄 차량 리콜을 한 데 이은 것이다.

NHTSA는 자동차 결함이 발견될 경우 제조업체에 리콜을 명령할 권한을 가진 곳이어서 이번 조사가 리콜을 염두에 둔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보도에 따르면 NHTSA 측은 LG에너지솔루션은 물론 이 회사의 배터리 장비를 구매한 다른 자동차 업체들에도 연락을 취해 안전 리콜이 실시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지난해 2월 메르세데스 벤츠는 2020년 2월 LG배터리 셀 내부 결함으로 화재 위험이 크다며 2019년형 '스마트 포투' 전기차를 리콜했으며 현대차도 8개월 뒤 비슷한 사유로 2019년형과 2020년형 코나 전기차 회수 조치에 나섰다.

특히 GM은 2020년 11월 LG 배터리 제조 결함을 이유로 쉐보레 볼트 전기차 14만대를 리콜했다. 이 사태로 작년 LG에너지솔루션은 리콜 분담금이 1조4천억 원이라고 공개한 바 있다.

해당 소식에 대해 LG에너지솔루션은 6일 "NHTSA의 이번 조사는 자동차 업체가 리콜을 실시할 경우 후속 조치로 해당 부품업체에 대해 다른 자동차 업체에도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품이 공급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일반적인 절차"라며 "후속 조치에 대해 성실하게 협조할 예정이다"고 밝혔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