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국제선 하늘 길 5월부터 넓어진다…주간 100회씩 증편

국토부·방역당국 항공 일상회복 협의 완료, 연말까지 50% 회복 추진

대구국제공항. 매일신문DB.
대구국제공항. 매일신문DB.

코로나19로 2년 넘게 닫혔던 국제선 하늘길이 5월부터 본격적으로 열린다.

국토교통부는 지난 3월 코로나19 해외유입 상황평가회의와 6일 열린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서 연말까지 국제선 운항 규모를 50%까지 회복하는 '국제선 단계적 일상회복 방안'을 추진하기로 방역당국 등 관계기관과 의견을 모았다고 밝혔다.

관계기관은 그동안 방역정책으로 축소된 국제항공 네트워크를 총 3단계에 걸쳐 정상화 할 예정이다. 국내외 방역 상황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하며 국제선 회복에 나선다는 것이다.

먼저 오는 5~6월에 1단계로 코로나19 이전 대비 운항 규모가 8.9%로 축소된 국제선 정기편을 매월 주 100회씩 증편한다. 국제선 운항편은 이달 주 420회 운항에서 5월 주 520회, 6월 주 620회로 점차 늘어난다.

국토부는 인천국제공항의 시간당 도착 항공편 수도 2년 만에 10대에서 20대로 늘리고, 부정기편 운항 허가 기간도 애초 1주일 단위에서 2주일 단위로 개선한다.

지방공항도 세관·출입국·검역 인력 재배치 등 준비기간을 거쳐 국내 예방접종 완료자를 대상으로 5월 무안·청주·제주공항, 6월 김포·양양공항 순으로 국제선 운영이 추진된다. 현재 지방에서 국제선은 김해·대구 공항에서만 이용이 가능했다.

국제선 단계적 일상회복 방안. 국토부 제공.
국제선 단계적 일상회복 방안. 국토부 제공.

2단계는 7월부터 엔데믹(풍토병) 시기까지 시행하기로 하고, 연말까지 국제선 복원 목표를 코로나19 이전의 50% 수준으로 설정했다.

7월부터는 국제선 정기편을 매월 주 300회씩 증편하고, 인천공항의 시간당 도착 항공편 수를 30대로 확대한다. 지방 공항 운영시간도 정상화하고, 방역 위험도가 높은 국가의 항공편 탑승률 제한도 폐지할 계획이다. 부정기편 허가 기간은 2주에서 4주로 늘어난다.

엔데믹 시기가 되면 3단계 계획을 시행하고, 모든 항공 정책을 코로나19 이전으로 정상화한다. 정부가 코로나19가 엔데믹 시기를 10월로 내다보고 있는 만큼 이 때가 되면 2019년의 40% 수준(주 1천820회), 11월에는 51% 수준(주 2천420회)까지 회복될 전망이다.

매월 단위로 인가되던 국제선 정기편 스케줄도 코로나19 이전과 같이 국제표준에 맞춰 하계·동계시즌 매년 2차례 인가되며, 인천공항 시간당 도착 편 수 제한도 평시처럼 40대로 정상화 된다.

김용석 국토부 항공정책실장은 "방역정책을 포함한 모든 코로나 관련 정책의 최종 목표는 '우리 국민들이 일상을 온전히 회복하는 것' 인만큼 항공분야도 조속히 일상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