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美 저명 언어학자 "우크라, 핵전쟁 피하려면 러에 퇴로 열어줘야"

"젤렌스키, 세계가 처한 상황에도 주목해야 해"

노암 촘스키. 인스타그램
노암 촘스키. 인스타그램

미국의 저명한 언어학자 노암 촘스키(94)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명예교수가 "핵전쟁을 피하기 위해서는 우크라이나가 러시아와 합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17일(현지시간) 이스라엘 일간 예루살렘포스트에 따르면 촘스키는 최근 진행한 미국 급진 정치 잡지인 '커런트어페어스'와의 인터뷰에서 "(영웅적인 언사보다는) 세계가 처한 실제 상황에 주목해야한다"면서 이같은 의견을 제시했다.

촘스키는 "일본 히로시마에 원자폭탄이 떨어졌을 때 받았던 충격을 생생하게 기억한다"면서 "우크라이나 침공 사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2가지 선택지가 있다"고 말했다.

그는 우선 "하나는 지금처럼 최후의 우크라이나인이 남을 때까지 러시아와 싸우는 것"이라며 "이는 핵전쟁의 가능성을 내재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그렇다고 (항전을 주장하는)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을 비판하는 것은 아니다. 그는 존경받을 만한 인사이고, 위대한 용기를 보여주고 있다"면서 "당신은 그의 입장에 동조할 수 있겠지만, 세계가 처한 현실에도 주목할 수 있다는 이야기"라고 덧붙였다.

촘스키는 또 다른 선택지로 "유일한 대안이 외교적 해법이라는 현실을 직시하는 것"이라며 "이는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소수 그의 측근들에게 퇴로를 열어주는 추한 것일 수 있다"고 제안했다.

그러면서 "외교적 협상의 기본적인 틀은 우크라이나의 중립화, 아마도 우크라이나 연방이라는 구조 안에서 돈바스 지역에 고도의 자치권을 부여하는 것일 수 있다"며 "좋든 싫든 크림반도는 협상 대상이 아니라는 것을 인정해야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촘스키는 "이런 협상을 좋아하지 않을 수도 있다"면서 "내일 허리케인이 온다는 사실을 좋아하지 않을지라도 '허리케인이 좋지 않아' 또는 '허리케인을 인정하지 않아'라는 말로는 허리케인이 들이닥치는 것을 멈출 수 없다"고 덧붙였다.

유대계 미국인인 촘스키는 1960년대 베트남전 반대 운동을 벌였고, 미국의 제국주의적 대외 정책을 비판해 '미국의 양심'이라 불린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