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지도부는 두 자녀가 1년 간격으로 잇따라 경북대 의대에 편입해 '아빠 찬스' 의혹이 제기된 정호영 보건복지부 장관 후보자에게 자진 사퇴를 촉구하는 등 비판의 목소리를 내고 나섰다.
세계일보 18일 보도에 따르면 김용태 최고위원은 이날 국회 최고위 회의에서 정 후보자를 향해 "국민들이 기대를 저버리지 않도록 거취에 대해 직접 결단해달라"고 촉구했다.
김 최고위원은 "적극적인 불법행위를 하진 않았더라도, 자녀의 편입 과정과 정 후보자의 걸어온 길을 돌아보면 국민의 일반적 눈높이에서 바라볼 때 쉽게 납득하기 힘든 게 현실이다. 이해충돌 의혹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다"고 지적했다.
이어 "품격과 도덕성이 필수인 고위 공직자 후보자에게 이해충돌 논란이 벌어진 것 자체만으로도 공정을 바랐던 국민에게 상대적 박탈감을 줄 수 있다. 기억하고 싶지 않은 조국 사태를 떠올리게 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윤석열 정부의 공정이 훼손되지 않고, 많은 국민들이 기대를 저버리지 않도록 정호영 장관 후보자께서는 거취에 대해 직접 결단하라"고 촉구했다.
같은 날 하태경 국민의힘 의원도 MBC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 출연해 "정 후보자 논란은 법리적 판단이 아니라 정무적 판단이 중요하다"며 "장관은 정무직이다. 법리적으로는 문제가 없을 수도 있다. 억울하더라도 자진사퇴 해주시는 게 맞다"고 요구했다.
하 의원은 "편입 절차상 불법적 요소는 없을 수도 있다. 하지만 가장 문제가 되는 게 딸이 (3명의 면접관으로부터) 구술면접 만점을 받았다는 것"이라며 "(면접관이) 알아서 (편의 봐주기를) 했을 수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자식들 의대 편입하는 데 있어서 본인의 사회적 자산, 정 후보자의 사회적 자산이 작용했을 수 있고 그 부분은 국민들 눈높이에서 볼 때는 불공정한 것"이라며 "해법은 본인이 자진사퇴하고, 대신에 철저하게 수사요청을 해서 결백을 입증하는 것이다. 그것이 명예 회복하는 길"이라고 강조했다.

김근식(경남대 교수) 전 윤석열 캠프 전략비전실장도 이날 페이스북에서 조국 사태와 비교하며 윤 당선인과 정 후보자에게 용단을 촉구했다.
김 교수는 "문재인 대통령은 끝까지 조국 (전 법무부 장관)을 비호하고, 사퇴 후에도 '마음의 빚'이 있다며 애석해 해 국민 분노를 자아냈다"면서 "새 정부의 성공적인 출범을 위해 읍참마속의 심정으로 잘 수습할 것을 기대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조국이 부끄러운 내로남불에도 불구하고 본인 잘못에 대한 반성 없이 법무장관이라는 벼슬을 탐했다 하더라도 정 후보자는 40년 지기 윤 당선인을 위해, '아빠 찬스'라는 국민정서법 의혹 제기만으로도 보건복지부 장관이라는 벼슬을 탐하지 말았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한편, 정 후보자는 전날 기자회견을 자청해 자녀들의 경북대 의대 학사편입 특혜 논란, 아들의 병역 등급 판정 논란, 자신의 미국 친목 출장 등은 사실이 아니라고 반박했다.
이날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 측도 "국회 청문회에서 (정 후보자가) 국민 눈높이에 맞는 적임자인지 판단해주면 좋을 것 같다"는 입장을 밝혔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