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일당 치솟고 지방선거 겹쳐…마늘양파 농가 "일손 못 구하면 어떡하나"

5월 본격 수확기 앞둔 영천지역 마늘·양파 재배농가 근심
인건비 상승 부채질 인력 가로채기…농민들 "예약제 도입 등 대책 필요해"

영천시와 마늘생산자단체 영천시지회, 산지농협, 용역업체 관계자들이 지난 15일 영농철 인력안정수급 방안을 논의하는 모습. 영천시 제공
영천시와 마늘생산자단체 영천시지회, 산지농협, 용역업체 관계자들이 지난 15일 영농철 인력안정수급 방안을 논의하는 모습. 영천시 제공

경북 영천지역 마늘·양파 재배농가들이 5월부터 본격화되는 수확기를 앞두고 인력 확보 문제로 근심이 커지고 있다.

외국인 계절근로자 배정 인원 '제로'(0) 등으로 인한 인력난으로 지난해 남자 기준 일당이 최대 20만원까지 치솟은 데다 올해는 6·1 지방선거까지 겹쳐 극심한 일손 구하기가 예상되고 있어서다.

이에 영천시와 마늘생산자단체 영천시지회, 산지농협, 용역업체 등이 지난 15일 간담회를 갖고 영농철 인력안정수급 방안을 논의했다.

이 자리에서 일부 농가들이 일당을 더 많이 주는 조건으로 무허가 불법 용역업체 등을 통해 인력 가로채기를 하는 것이 인건비 상승의 가장 큰 원인으로 지목됐으나 뾰족한 해법은 찾지 못했다.

그나마 참석자들은 허가 용역업체의 명단 공유를 통해 농가들에 적극 이용을 당부하고 인건비는 일반 밭일 기준 여자 10만원, 남자 13만원과 함께 마늘 작업은 여자 11만원, 남자 14만~15만원을 최대한 지키도록 협의했다. 또 식사 미제공시에는 1만원을 추가 지급하기로 협의했다.

영천시 관계자는 "무허가 용역업체 관리, 외국인 근로자 확보, 농기계 지원 등 농촌인력 안정수급을 위해 지속적 노력을 기울이며 공무원 영농지원 활동도 농번기에 집중하겠다"고 했다.

하지만 일선 농가들은 이같은 방안이 매년 되풀이 돼 온 미봉책이란 지적이다. 신녕면에서 마늘 농사를 짓는 김모(51) 씨는 "농번기 일손부족 문제는 어제 오늘 일이 아니다. 그런데도 관계기관은 매년 비슷한 내용의 회전문 대책만 내놓으니 답답하다"고 했다.

이어 "전부터 정치권에서 논의된 지방선거 4월 조정은 물론 (영천시)농촌인력지원센터를 비롯한 인력수급기관의 사전예약제 도입 등 다각적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덧붙였다.

한편, 영천지역은 난지형 대서마늘 전국 2위 생산지이자 경북지역 내 6번째 재배면적을 차지하는 양파 주산지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