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WHO “코로나로 2년간 약 1500만 명 사망…비공식 사망자 훨씬 많아”

직접 사망자에 의료 체계 붕괴에 따른 간접적 피해자도 포함

테워드로스 아드하놈 거브러여수스 세계보건기구(WHO) 사무총장. 연합뉴스
테워드로스 아드하놈 거브러여수스 세계보건기구(WHO) 사무총장. 연합뉴스

세계보건기구(WHO)가 지난 2년간 코로나19 펜데믹으로 전 세계에서 1천490만명이 목숨을 잃은 것으로 추산했다.

WHO가 5일(현지시간)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2020∼2021년 코로나19 팬데믹의 직·간접적 영향으로 사망한 사람의 수는 1천490만 명으로 추산됐다.

WHO가 공식 집계한 코로나19 사망자는 약 540만 명, 그러나 초과 사망자로 파악한 실제 사망자는 2.7배나 많다는 것이다.

세계 인구가 약 79억 명이란 점을 고려하면, 500명 중 1명꼴로 목숨을 잃은 셈이다.

WHO는 코로나19 환자뿐만 아니라 코로나19로 인한 의료·보건 체계 부담 가중으로 치료를 받지 못해 숨진 다른 질환 환자 등 간접적 영향으로 목숨을 잃은 사람들도 포함된 추정치라고 설명했다.

결론적으로 전 세계에서 2년 동안 평상시보다 13% 많은 사망자가 발생했다고 WHO는 덧붙였다.

사망자의 84%는 동남아시아와 유럽, 미주 지역에서 보고됐고, 68%가 브라질과 인도, 미국 등 10개국에서 나왔다.

특히 WHO는 인도의 사망자 수가 330만∼650만 명이 될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그러나 인도 정부는 사망자가 48만1천 명이라고 밝히고 있다.

국가 소득별로 중간 소득 국가의 사망자가 전체 사망자의 81%로 가장 많았고, 이어 고소득 국가가 15%, 저소득 국가는 4%를 차지했다.

성별로는 남성(57%) 사망자가 여성(43%)보다 많았고, 대부분의 사망자가 60세 이상 고령층(82%)이었다.

테워드로스 아드하놈 거브러여수스 WHO 사무총장은 "정신이 번쩍 들게 하는 이번 자료는 팬데믹의 영향을 나타낼 뿐 아니라 모든 나라가 더욱 탄력적인 보건 시스템을 위해 투자할 필요성을 지적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